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이 오는 2024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의 합병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 사장은 31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을 위해 안전·운항·IT·회계·고객 우대 등 수십 가지의 프로젝트가 맞물려 진행되고 있어 자회사 편입 후 통합까지 약 2년 정도 소요될 것”이라며 “2024년 통합 항공사를 출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대한항공은 지난 17일 산업은행에 제출한 ‘아시아나항공 인수·통합계획’에도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것으로 풀이됩니다.
우 사장은 “코로나19 상황이 회복된다고 가정할 경우 두 항공사의 통합시 연간 3000~4000억원의 통합 시너지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다만 적지 않은 통합 비용 소요돼 2년 이후에나 플러스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별도로 독립 운영될 경우 시너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충분한 시너지를 위해서 합병은 필수적이며 시너지를 통해 구조 개선을 해야 장기 생존이 가능하고 고용도 유지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우 사장은 “두 항공사가 통합하면 화물 네트워크도 효율적으로 재구성해 인천공항 네트워크 경쟁력 있는 아시아 물류 허브가 될 것”이라며 “비행 스케줄 댜앙화로 고객의 선택권 늘어나고 마일리지 적립 사용 측면에서도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과정은 한국을 포함한 미국, EU, 중국, 일본, 터키 등 9개 경쟁국의 기업결합 심사를 거쳐야 하며 현재 터키를 제외한 8개 경쟁국에서 심사를 진행 중입니다.
아울러 우 사장은 2년간의 통합준비 기간을 거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를 합병하면서 진에어, 에어서울, 에어부산 등 양사의 저비용항공사(LCC) 3곳도 하나로 합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통합 LCC를 대한항공와 한진칼 중 어느 곳의 자회사로 둘지는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우 사장은 “LCC를 통합해 하나의 항공사로 만들어 대한항공이나 한진칼 산하에 두는 두 가지 방안을 고려 중”이라며 “자금이나 공정위의 심사 등을 고려해 통합 시기와 방안을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