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인식·주행·청소에 반려동물 케어까지”...삼성전자,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 선봬

URL복사

Tuesday, April 27, 2021, 12:04:00

AI 솔루션 탑재로 사람처럼 스스로 보고, 판단해 청소까지 가능
딥러닝 기반으로 100만장 이상 이미지 사전 학습
가전·가구·반려동물 배설물·양말·전선까지 국내 최다 사물인식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로봇청소기가 집안에서 필수가전으로 자리 잡으려면 무조건 똑똑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알아서 청소하고 먼지가지 비워줘야 하는 겁니다.”

 

최근 5년간 국내 무선 스틱청소기는 무서운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선이 없는 편리함으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지난 2015년부터 2020년 사이 무선 스틱청소기는 3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같은 기간 로봇 청소기는 10%에서 12%로 성장하는 것에 그쳤습니다. 

 

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그동안 로봇청소기를 틀어놓고 나가면 전선이 엉키거나 식탁 밑에서 청소가 중간에 멈추는 경우가 많았다”며 “로봇이라고 해서 샀는데, 로봇에서 기대할 수 있는 똑똑함과 거리가 멀었던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4년 만에 신제품 선봬..인공지능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 출시

 

삼성전자가 4년 만에 로봇청소기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집 안 필수가전으로 자리 잡는데 적극 나섰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로 사물인식 능력과 주행성능을 대폭 개선한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를 27일 출시했습니다.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딥러닝 기반으로 100만장 이상의 이미지를 사전 학습해 국내 최다 수준의 사물 인식이 가능합니다. 

 

이번 제트 봇 AI는 반려동물의 배설물, 양말, 전선, 유리컵 등 기존에 인식하기 어려웠던 장애물까지 구분해 내는 것이 특징인데요. 인텔의 AI 솔루션(Intel® Movidius™) 기반의 뛰어난 사물인식 능력을 바탕으로 가구나 가전제품 같은 일반적인 사물에는 최대한 근접해 꼼꼼하게 청소합니다.

 

또 애완견의 배설물이나 유리컵 등 위험한 장애물은 스스로 회피해 거리를 두는 등 공간의 특성에 최적화된 청소를 해줍니다. 

 

제트 봇 AI는 업계 최초로 ‘액티브 스테레오 카메라(Active Stereo Camera)’ 방식의 3D 센서를 탑재해 1㎤ 이상의 모든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2개의 카메라가 공간과 사물을 3차원으로 인식하고,  ‘패턴빔’을 쏘아 카메라만으로 인식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교한 장애물 감지와 공간 인식이 가능합니다. 

 

또한 최대 1m 거리, 좌우 60도까지 주변 지형지물을 입체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집안 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해 도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높이가 1cm에 불과한 낮은 장애물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활용되는 라이다(LiDAR) 센서를 기반으로 공간 특성에 맞게 스스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 주행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TV 주변 청소해줘”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명령만으로 원하는 공간을 지정해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데요.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청소를 원하는 구역이나 제외하고 싶은 구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제트 싸이클론’ 등 차별화된 청소 성능 탑재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차별화된 청소 성능도 갖췄는데요. 16개의 에어홀로 구성된 ‘제트 싸이클론’과 디지털 인버터 모터가 강력한 흡입력을 구현하고, 한국 마루바닥에 최적화된 ‘소프트 마루 브러시’가 미세먼지까지 꼼꼼하게 청소해줍니다. 청소기가 바닥 소재를 자동으로 감지해 카펫처럼 먼지가 끼기 쉬운 재질에서는 더 강력하게 청소합니다.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먼지 비움 과정도 편리해졌습니다. 청소기가 청소를 마친 후 도킹 스테이션인 ‘청정스테이션’으로 복귀해 충전과 함께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우고, 청소를 마치기 전이라도 먼지통이 가득 차면 먼지를 비우고 난 뒤 청소를 다시 시작합니다.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다양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수여하는 ‘CES 2021 혁신상(Innovation Awards Honoree)’을 수상했습니다. CNN이 선정한 ‘CES 최고의 생활가전(Best Home Appliance)’은 물론 디지털트렌드가 꼽은 ‘CES 2021 최고의 기술(Top Tech of CES 2021)’과 ‘CES 2021 최고의 스마트홈 기술(The best smart home tech of CES 2021)’, 엔가젯이 뽑은 'CES 2021 최고의 제품(Best of CES 2021)' 에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로봇 청소기로 처음으로 ‘펫 케어’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스마트싱스 앱에 새롭게 런칭한 ‘펫 케어’ 서비스를 사용하면 외출 시 홀로 남은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심하게 짖거나 장시간 움직임이 없는 등 이상 징후나 행동을 감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로봇청소기 본체에 탑재된 스피커로 음악을 재생해주기도 하는데요. 특히 삼성카드가 운영하는 국내 인기 반려동물 앱인 ‘아지냥이’와 손잡고 제작·선곡한 20곡은 삼성 스마트싱스 펫 서비스 사용자들에게는 무료로 제공됩니다. 

 

반려동물의 건강 상담이나 수의사 설채현씨가 알려주는 다양한 정보를 담은 영상 콘텐츠도 스마트싱스 펫케어 서비스롤 통해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지냥이는 최근 ‘비스포크 홈’ 출시와 함께 고객에게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출범한 오픈 협업 체제인 ‘팀 비스포크’에도 합류했습니다. 

 

◇ 30평대 아파트 기준 1시간 소요..슬림 비스포크 스틱청소기도 공개

 

이번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30평대 아파트를 청소하는데 60분(1시간) 가량 소요됩니다. 삼성전자는 아파트 층간 소음 등을 고려해 전작보다 청소기 소음 데시벨을 줄였습니다. 

 

이날 삼성전자는 ‘슬림 비스포크 무선청소기’를 4종을 새롭게 선보였습니다. 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생활 환경에 따라서 로봇과 스틱청소기로 활용할 수 있고, 아니면 로봇으로 매일 청소를 하고, 슬림 비스포크 무선청소기를 주말에 보조적인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슬림 비스포크 무선청소기’는 오는 5월 출시될 예정입니다. 

 

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기존 로봇청소기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이었던 주행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을 뿐 아니라 자동 먼지 비움, 펫 케어 서비스 등과 같이 편의성을 높인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2025 주주총회] KT “AICT 기업으로 완전한 변화…기업가치 향상 가속화”

[2025 주주총회] KT “AICT 기업으로 완전한 변화…기업가치 향상 가속화”

2025.03.31 13:28:10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가 31일 서울 서초구 태봉로 KT연구개발센터에서 제43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올해 AICT 기업으로서 사업 방향성에 대해 밝혔습니다. 김영섭 KT 대표는 의장 인사말을 통해 "KT는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지 1년 만에 혁신과 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라며 "올해는 B2B AX, AI 기반의 CT, 미디어 사업 혁신을 통해 AICT 기업으로의 완전한 변화를 달성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제4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이 상정, 통과됐습니다. 2024년 연결 재무제표는 연간 매출 26조4312억원, 영업이익 8095억원으로 승인됐습니다. 4분기 주당 배당금은 500원으로 확정했으며 4월16일 지급될 예정입니다. KT는 지난해 2059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완료한 데 이어 오는 2025년 8월까지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 및 소각할 계획입니다. 또한, KT는 정관 일부를 변경해 분기배당 시 이사회가 분기 말일로부터 45일 이내에 배당액과 배당기준일을 설정할 수 있도록 배당 절차를 개선했습니다. 이 외에 회사채 발행 의결 방식 변경 안건도 승인됐습니다. KT는 전문성과 향후 기여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곽우영(현 포스코청암상 기술상 선정위원), 김성철(현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이승훈(현 한국투자공사 운영위원회 민간 운영위원), 김용헌(현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 사외이사를 재선임했습니다. 감사위원회 위원으로는 김성철, 이승훈, 김용헌 이사를 선임했습니다. 이사 보수 한도 승인 안건도 원안대로 의결했습니다. KT는 올해 정기주주총회부터 주주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의안 의결에 앞서, 전략발표 세션을 신설하고 온라인 생중계를 도입했습니다. 박효일 KT 전략실장(전무)은 2024년도 경영 성과를 공유하고, 2025년을 'AICT 기업'으로 변화하는 성장의 원년으로 삼겠다며 ▲AICT 역량 강화 ▲B2B AX 사업 혁신 성장 ▲AI 기반 B2C 차별화 ▲주주가치 제고 등의 경영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정우진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장(전무)은 AX 사업전략 발표에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최적화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AX Total Service Provider' 전략을 소개했습니다. 또한, 2025년은 AX 사업의 본격적인 도약을 알리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B2B AX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KT의 기업 가치를 한층 더 높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발표 이후에는 현장 참석한 주주뿐만 아니라 온라인 중계로 참여한 주주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