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좋은 성적표를 받은 SK하이닉스가 올해 남은 시장 환경도 밝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SK하이닉스(대표 박정호·이석희)는 28일 올해 1분기 매출 8조4942억원, 영업이익 1조3244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18%와 65.5% 늘었습니다. 개인용컴퓨터(PC)와 모바일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한 결과입니다.
SK하이닉스는 이날 실적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콜(다자간 전화 회의)에서 수요 증가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회사 측은 “올해 D램 수요는 20% 수준, 낸드는 30% 중반 수준이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스마트폰 수요는 회복세지만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은 아니다”라며 “팬트업 수요와 5세대 이동통신 전환 가속화, 모바일 업체 간 점유율 경쟁에 따라 메모리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본격적인 수요 증가는 올해 하반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SK하이닉스는 “CPU 출시 효과가 가시화되는 하반기 수요 증가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SK하이닉스는 D램 시장에서 시장 성장률 수준으로, 낸드 시장에서는 시장 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준의 비트그로스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불거진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에 대한 대응책도 고심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반도체 공급부족 상황에 어떻게 기여할지 고민하고 있다”며 “8인치 파운드리를 중심으로 추가적 확장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놓고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