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승재 기자ㅣLG전자가 오는 7월 모바일 사업을 완전 철수하는 가운데, 오늘을 끝으로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합니다.
LG전자(대표 권봉석·배두용)는 31일 스마트폰 생산을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LG전자는 지난 4월 이사회를 열어 MC(모바일커뮤니케이션)사업 본부가 맡은 모바일 사업에서 철수를 공식화했습니다.
당시 LG전자는 5월 말까지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사업 종료 이후 구매 고객과 기존 사용자가 불편을 겪지 않도록 사후 서비스를 지속할 것을 예고했습니다.
현재 LG전자는 3500여명 규모의 MC사업본부 임직원 인력 배치도 진행 중입니다. LG전자 관계자는 “현재 다른 부서나 계열사로의 재배치 된 MC사업본부 임직원도 있고 대기 중인 인원도 있다”며 “임직원의 직무경력 등을 고려해 7월 사업 종료 전까진 인원 재배치를 끝마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스마트폰 생산을 완전 철수하면서 기존 공장의 생산라인 전환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기지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베트남 공장에 생활 가전 생산라인이 추가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지난 2015년 LG전자는 베트남 하이퐁에 ‘LG 하이퐁 캠퍼스’를 설립하고 스마트폰과 TV 가전제품 등을 생산해왔습니다. 2019년 LG전자는 비용 절감을 위해 국내에서 스마트폰 생산을 중단하고, 스마트폰 생산라인을 베트남 하이퐁 공장으로 통합했습니다. 베트남 공장에서는 연간 1000만대 규모의 스마트폰이 생산됐습니다.
LG전자의 또 다른 생산기지인 브라질 공장도 통·폐합을 앞두고 있습니다. 브라질 내 스마트폰과 노트북, 모니터 등을 생산했던 ‘타우바테 공장’을 폐쇄하고, 스마트폰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의 생산시설을 ‘마나우스 공장’으로 이전할 계획입니다.
앞서 브라질 정부는 지난 11일 마나우스 공장에 3억2500만헤알(약 690억원)을 투자해 공장을 1만2000㎡로 확장하겠다는 LG전자의 요청을 승인했습니다. 향후 마나우스 공장에 새로운 제조 라인 구축과 함께 2200여명의 현지 인력 고용 창출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윌슨 리마 아마조나스 주지사는 “마나우스 공장이 예상보다 두 배 이상 고용기회를 창출할 것”이라며 “공장 확장이 지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모두에게 윈윈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공장 이전이 마무리되면 ‘타우바테 공장’에는 소수의 콜센터 직원만 남게 됩니다. LG전자 관계자는 “콜센터 직원들은 남아서 고객들의 서비스 지원을 담당할 것”이라며 “언제까지 서비스를 지원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LG전자는 사업 종료 이후에도 휴대폰 운영체제(OS) 업그레이드와 AS(사후관리) 서비스는 지속합니다. 프리미엄 모델은 3년·보급형 모델은 2년간 운영체제 업그레이드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출시한 LG 벨벳과 LG 윙은 2023년까지 운영체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AS는 제품의 최종 제조일로부터 최소 4년 지원하기로 정했습니다. LG 휴대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전국 120여 개 서비스센터를 기존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