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부문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대표 권오갑·가삼현)이 올해 2분기 강재 가격 급등 여파로 공사손실충당금을 미리 반영함에 따라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 8973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21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선박 건조물량 증가로 전분기 대비 3.1% 증가한 3조797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올 들어 수주량 증가 및 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강재가(價) 인상 전망으로 인해 조선부문에서 8960억원의 공사손실충당금을 선(先)반영한데 따른 것입니다. 해양부문은 매출 감소에 따른 고정비 부담 증가, 플랜트부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공정 지연의 영향으로 적자폭이 커졌습니다.
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강재가 급등 전망에 따라 예측 가능한 손실액을 보수적으로 반영하면서 일시적으로 적자 규모가 커졌다”며 “원자재가 인상이 선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데다, 안정적인 수주잔량을 바탕으로 수익성 중심의 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어 하반기 매출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상반기에만 총 162척(해양플랜트 2기 포함), 140억달러를 수주하는 등 연초 세운 조선·해양부문 목표액 149억달러를 조기 달성해 수주잔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한 상태입니다. 향후 강재의 원재료 철광석 가격이 안정되고 올해 수주 선박의 매출 비중이 커지면서 실적이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해운 운임과 유가 상승에 힘입어 선박·해양플랜트 발주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로 조선 시장이 친환경 기술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것 역시 실적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한국조선해양은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