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삼성화재가 자동차보험에서 텔레마케팅(Tele Marketing, TM) 채널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손보업계에서 유일하게 CM(Cyber Marketing)채널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화재가 역으로 TM채널로 진출을 하겠다고 선언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삼성화재는 27일 진행된 3분기 경영설명회를 통해 자동차보험의 TM채널 진출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화재 측은 “온라인보험슈퍼마켓이 오픈되면 자동차보험의 1사3요율제가 허용되게 된다”며 “우리도 1사3요율제를 고려해 TM진출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삼성화재는 현재 자동차보험을 전속 설계사 채널과 다이렉트 채널에서만 판매하고 있다. 다른 손해보험사의 경우는 전속 설계사와 TM채널에서 자보 상품을 판매하고 있어 손보사 중 유일하게 CM채널을 통해 자보를 취급하고 있었다.
CM채널은 온라인에서 소비자가 직접 상품에 가입하는 형태로, 설계사 혹은 TM을 통해 가입하는 것보다 보험료가 저렴하다. 삼성화재는 이 강점을 살려 온라인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자리를 차지해 왔다.
삼성화재가 급작스레 자보의 TM 영업진출을 계획하는 것에는 온라인보험슈퍼마켓 출범과 연관이 있다는 게 중론이다. 금융위는 내달 중 자동차보험을 비롯해 실손보험, 여행자보험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보험슈퍼마켓을 준비 중이다. 사실상 보험사의 자보에서 1사 3요율제를 허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삼성화재를 제외한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에서는 현재 온라인에서 자동차보험을 판매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지금 판매하고 있는 설계사와 TM채널보다는 더 저렴한 보험료가 책정되는데, 이렇게 되면 각 회사당 1사 3요율제가 적용된다.
이렇게 되자 삼성화재도 1사 3요율제 허용에 대한 대비책으로 TM영업에 나서게 됐다는 것. 삼성화재 관계자는 “현재 직판(오프라인)도 있고 온라인도 있으니 TM을 하는 것도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업계도 삼성화재가 TM진출을 통해 온라인 채널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설계사채널을 통해 가입한 기존 고객을 온라인으로 유입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설계사 채널보다 사업비가 적게 드는 온라인에서 전체 자보 손해율을 개선시키지 않겠냐는 해석이다.
일각에서는 자보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포석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채널을 넓힌다는 것은 보다 많은 고객을 유입시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것. 현재 삼성화재 자보 시장 점유율은 27~28%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삼성화재가 TM을 진출한다는 것은 기존 오프라인 고개을 온라인으로 이동시키려는 목적이 가장 클 것으로 생각된다”며 “자보는 팔면 손해가 나는 구조기 때문에 어떻게서든 사업비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다만, 경쟁사들은 삼성화재 TM진출에 대해 짐짓 여유로운 표정을 짓고 있다. 복수의 손보사 관계자는 “자보 시장 점유율은 채널을 넓힌다고 해서 크게 바뀌지 않는다”며 “각 사의 고객이 다른 보험사로 쉽게 옮기는 경우도 드물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