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수도권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을까?’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빅데이터 자료가 선을 보입니다.
KT(대표이사 구현모)는 서울시,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서울 생활이동’은 ‘특정시점, 특정 지역 간’ 서울 안에서 이동하거나 서울 외부에서 서울로 오고 간 모든 사람들의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를 말하는데요. KT의 통신 데이터와 서울시가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 한국교통연구원의 통행량 데이터를 융합해 만들었습니다.
정기적인 출·퇴근 및 등·하교는 물론 비즈니스, 쇼핑, 여가활동 등을 위해 이동한 경우를 포함하며, 출발지·목적지·시간대·성·연령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전역을 행정동보다 조밀한 1831개 구역으로 나누고,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해 시의성 있는 세밀한 정책 지원이 가능합니다.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간의 가치가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큰 통근시간과 통학시간의 개선을 위해 개발됐는데, 특히 코로나19 대응이나 통근 및 통학시간 개선 등 서울시의 각종 정책 수립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일례로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게 나타난 노선의 증차를 결정하거나, 대중교통 인프라 수요가 높은 지역에 버스노선을 신설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청년 공공주택 부지로 2~30대 통근인구가 많은 지역을 선정하는 등 도시 공간 구조개선에도 활용될 전망입니다.
생활이동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을 통해 최초 공개되며 매달 업데이트됩니다.
한편, 이날 서울시는 KT와 서울 생활이동 빅데이터를 분석해 정책적으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발굴해 공개했습니다.
이 중 일부를 살펴 보면, 서울을 오가는 이동인구 중 서울에서 경기도로 출근·등교하는 데 걸린 평균 소요시간은 65.4분인 반면, 경기도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데는 평균 72.1분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통근이나 통학을 하는 20~30대 청년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행정동은 강남구 역삼 1동, 관악구 청룡동, 영등포구 영등포동, 관악구 신림동, 강서구 화곡1동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생활이동 분석결과가 청년주택 신규입지 선정 등 서울시의 향후 도시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와 KT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준기 KT(AI/BigData사업본부) 본부장은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민·관·연 협력모델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이동 데이터가 스마트시티 서울을 구현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시 박종수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서울시가 새롭게 개발한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민의 삶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스마트도시에 꼭 필요한 데이터이며, 개발된 데이터는 시민에게도 공개해 데이터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