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진라거는 홉·효모·맥아 외에는 넣지 않았다.”
수제맥주회사인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가 출시 2주일 만에 70만캔이 팔리며 화제가 된 수제맥주 진라거의 성공 비결과 향후 계획을 밝혔습니다.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는 7일 오전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에서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모두 자신의 아바타로 게더타운 안에 마련된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를 견학하며, 오뚜기와 협업해 출시한 진라거의 생산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김태경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 대표는 “진라거는 지난 50여년간 맛의 진정성을 추구한 오뚜기와 다양성을 추구하는 크래프트 맥주 회사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가 함께 만든 맥주”라며 “진라면의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진한 맛을 모티브로 진라거를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표는 진라거를 출시한 이유 중 하나로 일본의 ‘맥주&라면’ 문화를 예로 들었습니다. 우리나라 치맥(치킨+맥주), 라소(라면+소주) 조합처럼 일본에서는 라면에 맥주를 곁들이는 문화가 보편적이며, 한국에서도 맥주와 라면의 조합이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아울러 오뚜기가 생산하는 여러 식품들과 푸드 페어링(함께 먹었을 때 음식 궁합이 좋은 것)도 염두에 두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9월 중순 출시한 진라거는 시장에 나온 지 보름도 걸리지 않아 초도 물량 70만캔이 모두 팔리며 주류업계에서 눈길을 모았습니다.
주류업계에서는 라면과 수제맥주라는 독특한 조합·이색적인 시도에 흥미를 느낀 MZ세대(밀레니엄+Z세대·1980년~2000년대생)들이 SNS(사회관계망 서비스)를 활용해 자발적으로 공유·인증을 하면서 입소문을 탄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입니다.
김 대표는 “원가 절감 등 이유로 인공 감미료·착향료를 사용하는 라거들이 많지만 진라거는 홉·효모·맥아 외에는 넣지 않았다”며 “라거 맥주 시장에서 다양성을 불어넣기 위해 스페셜 몰트를 사용해 진한 풍미를 앞세웠다”고 강조했습니다.
어메이징브루잉은 지난 2016년 성수동에서 60평 규모의 매장(브루펍)으로 시작한 수제맥주 스타트업입니다. 2019년에는 이천에 월 150톤(t)의 캔·생맥주를 생산할 수 있는 브루어리를 준공했습니다. 현재 편의점·대형마트·백화점·펍 등 전국 여러 유통채널을 통해 맥주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김 대표는 최근 대기업의 수제맥주 시장 진입 시도에 대해 “앞으로도 고품질 몰트나 홉을 사용해 실험적인 시도를 많이 할 것이고 그 점이 대기업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라며 “매출은 2019년 30억 원에서 지난해 40억 원, 올해 100억 원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