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국내은행의 3분기 당기순이익이 4조 6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3조 5000억 원 대비 1조 1000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금융감독원이 16일 발표한 ‘2021년 3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5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10조 3000억 원에 비해 5조 3000억 원 늘었습니다. 금감원은 대출자산 증가로 인한 이자이익 상승과 대손비용 적립 감소가 순이익 증가를 이끌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금감원은 산업은행의 HMM 전환사채(CB) 전환이익 등으로 같은 기간 순이익이 2조 2000억 원 늘어났다고 전했습니다. 산업은행을 제외한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12조 9000억 원으로 9조 8000억 원의 전년 동기 수치 대비 3조 1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은행권의 대출자산 증가로 이자이익은 1조 3000억 원 증가했지만 비이자이익은 6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영업외손익도 1000억 원 줄었습니다.
3분기 대손비용은 3400억 원입니다. 1조 4600억 원의 전년 동기 대손비용 대비 1조 1300억 원 줄었습니다. 금감원은 양호한 수준의 자산건전성이 지속되고,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라 충당금 적립을 확대한 것이 반영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6%로 전년 동기(0.47%) 대비 0.09%p 상승했습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전년 동기(6.29%) 대비 1.07%p 오른 7.36%를 기록했습니다.

3분기 국내은행의 이자이익은 11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10조 4000억 원) 대비 1조 2000억 원 확대됐습니다. 금감원은 순이자마진(NIM)이 1.44%로 전년 동기 대비 0.04%p 상승한데다 대출채권 등 이자수익 자산 증가세 지속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했습니다.
비이자이익은 1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1조 8000억 원) 대비 6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외환·파생부문 수익도 5000억 원 줄었습니다. 유가증권은 1000억 원, 수수료는 300억 원 수익 감소가 나타났습니다.

판매관리비는 5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5조 7000억 원) 대비 2000억 원 늘었습니다. 물건비는 전년 동기와 유사한 데 비해 인건비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영업외손실은 4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3000억 원 손실에 비해 적자폭이 1000억 원 확대됐습니다. 법인세 비용은 1조 59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 2500억 원 대비 3400억 원 증가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최근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3개월 이상 채무를 연체한 한계차주들의 상환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며 “은행이 충당금을 충실히 적립하는 등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