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신안산선 영등포역, GTX-C 창동역 등 개통 예정인 8곳 역사 위에 지역 맞춤형 공공주택 1000가구가 지어집니다.
국토교통부는 서울시, 경기도와 함께 오는 2025년과 2027년 각각 개통 예정인 신안산선과 GTX-C(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신규 철도역사를 활용해 공공주택을 복합개발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습니다.
철도역사 공공주택 복합개발은 철도사업자가 철도역을 건물형으로 건설하면서 하부층은 철도출입구, 상부층은 주택으로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주택은 서울주택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이 매입해 청년을 위한 매입임대, 장기전세 등으로 공급하게 됩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시범사업으로 신안산선 영등포‧대림삼거리‧시흥사거리‧한양대역에 총 500가구, GTX-C 창동‧청량리‧양재‧덕정역에 총 500가구의 공공주택을 공급합니다. 특히, 각 역사에 공급되는 공공주택은 지역의 산업‧교통현황 등 주요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임대주택으로 조성될 예정입니다.
영등포 역사는 기존 2층 규모 철도출입구에 구조보강을 통해 8개 층을 증축해 공공주택을 공급합니다. 특히, 1호선·KTX 등 우수한 교통망을 통한 출퇴근 편의를 고려해 사회초년생 중심으로 주택 공급에 나설 방침입니다.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역사는 캠퍼스 혁신파크 지정 예정부지에 추가 출입구 설치를 협의하고 있으며, 출입구 설치 시 240명 수용이 가능한 공공주택을 공급하게 됩니다. 국토부는 한양대 재학생 외에도 캠퍼스 혁신파크에 입주하는 기업 종사자에게도 입주기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GTX-C 창동역은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을 통해 창동역과 연결된 건물 상부에 인근 문화‧예술 시설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문화창업) 주택을 조성합니다. 주택은 청년 문화창업인과 업계 관계자에게 공급할 계획입니다.
국토부는 철도노선‧역사 등 공사기간을 고려해 오는 2025~2026년께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입니다. 또, 장기적으로 신규 민자‧광역철도 복합개발을 의무화하는 등 철도‧주택 복합개발을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철도와 도시‧주택 복합개발을 통해 서민 주거지원, 철도 요금인하 등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철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계획된 사업은 신속하게 추진하면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