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는 줄었으나 수도권·광역시·세종시를 제외한 지방 중소도시에서의 거래량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지역 외 거주자인 '외지인'들이 3명 중 1명 꼴로 지방 중소도시 내 아파트를 매수하며 거래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거주지별 아파트매매 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총 59만 7557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73만 8391건)과 비교했을 때 19.07%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에 반해 지방 중소도시 내 아파트 총 거래량은 22만 4863건으로 나타나며 전년 19만 7732건 대비 13.72% 증가했습니다.
특히, 외지인들의 두드러진 매수 행렬이 거래량 증가에 주된 역할을 했습니다. 외지인의 지방 아파트 매수비율은 전년 대비 8.82% 증가한 34.15%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 외지인 매수비율은 충남 42.86%, 강원 39.75%, 충북 39.41%, 경북 30.82%, 경남 30.47%, 전북 30.08%, 전남 25.8%, 제주 23.86% 순입니다.
부동산 업계는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많은 곳이 비규제 지역으로 구성돼 아파트 수요자들이 규제를 피해 발길을 돌리며 거래량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대도시 위주로 이어져 온 고강도 규제와 높은 집값 등으로 인해 인접 기타 지방에 나타난 풍선효과”라며 “피로감을 느낀 수요자들이 인접지로 눈을 돌리며 인기가 거세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비규제 프리미엄’이 붙은 지역이 대다수”라며 “현행과 같은 규제 기조가 이어진다면 대도시 인근 중소도시들의 인기는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