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40~64세 중장년 층의 주택 매입이 1년 동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1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0년 1월 1일~11월 1일까지의 중장년층 행정통계에 따르면, 중장년 인구 총 2008만 6000명 가운데 주택 소유자는 866만 7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중장년의 43.1% 수준으로 전년인 2019년과 비교했을 때 15만 7000명(0.6%) 늘어났습니다.
2가구 이상을 갖고 있는 다주택자는 155만 8000명으로 전년보다 0.1% 오른 7.8%로 집계됐습니다.
성별로는 남성 45.9%, 여성 40.4%가 집을 갖고 있었으며, 종사상 지위별로는 비임금근로자의 주택소유 비중이 51.3%로 임금근로자(47.7%)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 초반(50~54세)이 185만 4000명으로 주택 소유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연령대 숫자 대비 비율로 따졌을 경우 60대 초반(60~64세)의 장년층이 45.5%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공시가격을 적용한 가액별로 볼 경우 6000만 원 초과~1억 5000만 원 이하의 집을 갖고 있는 중장년이 30.2%로 가장 높게 조사됐습니다. 1억 5000만 원 초과~3억 원 이하는 26.9%, 3억 원 초과~6억 원 이하는 19.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전년대비 6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소유한 중장년의 비율은 9.6%로 집계되며 전년보다 3.0% 올라갔습니다. 6억 원 초과 주택의 경우 60대 초반 10.0%, 50대 후반 9.9%, 50대 초반 9.8%, 40대 후반 9.4%, 40대 초반 8.7%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소유 비중이 높았습니다.
아울러, 주택소유자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9840만 원으로 무주택자(2780만 원)보다 3.5배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억 원 이상~2억 원 미만의 대출잔액이 있는 주택소유자가 24.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3억 원 이상(14.1%), 1000만 원 이상~3000만 원 미만(13.7%)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