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변동성이 확대된 코스피 시장에서 저PER 업종과 밸류에이션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대형주를 통한 투자전략이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국내 증시의 변동성 확대는 대내외 요인이 맞물린 결과라고 판단했다. 대내 요인은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앞둔 수급의 흔들림과 시중금리 상승 움직임, 대외 요인은 Fed(미국중앙은행) 긴축 경계감과 중국 경기 하강 우려라고 설명했다.
다만, 단기 수급 요인은 정점을 통과하고 있다고 전망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통한 패시브 매수 수요가 지수 변동성을 크게 키울 정도는 아니다”며 “매입 시점도 분리된다는 점에서 지수 방향성에 장기간 영향을 미칠 요인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신한금융투자는 통화 긴축에 대해서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가격의 선조정이 진행됐다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의 상대 PER이 지난 18년 1분기 수준으로 하락한 상황에서 미국 대비 한국 상대강도 하락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변동성의 확대, 금리 상승 국면에서 저PER 업종과 대형주 위주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노 연구원은 “국내 증시 가격 조정이 상당 부분 진행됐다는 점에서 매도 실익이 크지 않다”며 “주식을 보유 관점에서 바라보는 태도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시중금리 상승 국면에서 저PER 업종 위주 투자전략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시가총액 상위를 차지하는 반도체 등 IT, 자동차 업종 PER이 낮다는 점을 고려해 국내 대형주의 상대수익률 개선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