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Company/Biz 기업/비즈

쉐보레, 볼트EV·볼트EUV 2분기부터 고객 인도

URL복사

Thursday, February 17, 2022, 13:02:27

지난해 8월부터 사전 예약 받은 전기차 모델
신형 배터리 모듈 탑재, 북미 공장 정상화 따라 순차 출시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쉐보레는 ‘2022년형 볼트EV’와 브랜드 최초의 전기 SUV인 ‘볼트EUV’의 고객 인도를 올해 2분기 중으로 개시한다고 17일 밝혔습니다.

 

두 모델은 지난해 8월 사전 계약을 받았습니다. 올 2분기부터 고객에게 인도하는 차량들은 신규 배터리 모듈을 적용했습니다. 계약 일시 및 모델에 따라 순차적으로 고객 인도가 진행될 예정이다.

 

볼트EV를 생산하는 북미 공장의 재가동 일정이 결정됨에 따라 초기 인도 물량 외에도 빠른 시일 내 기존 계약자를 대상으로 차량 인도를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신형 볼트EV와 볼트EUV는 150kW급 고성능 싱글 모터 전동 드라이브 유닛을 탑재해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6.7 kg.m의 강력한 퍼포먼스를 발휘합니다. 특히 차체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배터리 패키지 등 전기차 전용 플랫폼으로 설계되어 주행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평입니다.

 

또한 신형 배터리 모듈이 탑재된 LG에너지솔루션의 66kWh 대용량 배터리 패키지를 통해 볼트EV(414km)와 볼트EUV(403km)는 환경부 인증 기준 1회 충전만으로 4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으며, 리젠 온 디맨드 시스템(Regen On Demand®)과 원페달 드라이빙 시스템(One Pedal Driving)을 통해 배터리 효율을 높였습니다.

 

쉐보레는 전기차 고객들이 전국 어디에서나 최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전문 인력과 장비를 갖춘 100여 개 전기차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차 부품에 대해 8년 16만 km 보증을 포함, 일반 부품 보증 5년 10만km, 고장 및 배터리 방전 시 5년간 무제한 무상 견인 서비스(편도 80km 이내) 등 차별화된 전기차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판매가는 볼트EV는 4130만원, 볼트EUV는 4490만원(정부 및 지자체 전기차 구입 보조금 제외 기준)입니다.

 

쉐보레 관계자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두 모델 출시를 시작으로 2025년까지 전기차 10종을 선보일 예정이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용운 기자 lucky@inthenews.co.kr


‘분양 성수기’ 6월, 서울 2145가구 일반분양 예정

‘분양 성수기’ 6월, 서울 2145가구 일반분양 예정

2023.06.01 08:00:00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분양 성수기'인 6월에는 서울 6개 단지서 총 2145가구 규모의 일반분양(조합원분 제외) 물량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1일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 달 서울서 조합원분, 임대주택분 등을 제외한 일반분양 진행 예정사업지 및 가구 수는 6개 단지, 2145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전월 예정물량으로 조사된 309가구와 비교할 경우 약 7배 늘은 수치입니다. 서울은 올해 초 분양 규제 완화에 힘입어 '청약 훈풍'이 다시 부는 모습입니다. 올해 서울 대형 건설사 첫 분양 단지로 주목받았던 '영등포자이 디그니티'가 1순위 평균 198.8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인 것을 시작으로, 일부 단지를 제외한 대부분 사업지에서 두 자릿 수 이상 경쟁률을 기록하며 좋은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청약홈에 따르면, 서울에서 일반공급(1~2순위)으로 진행된 7개 단지 물량인 981가구에 접수한 전체 수요자는 4만942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평균 경쟁률로 환산할 경우 50.38대 1입니다. 분양 침체기였던 지난해 서울 평균 1~2순위 청약 경쟁률(10.9대 1)과 단순 비교할 경우 약 4~5배 늘었습니다. 이번 달 서울 분양예정 주요 단지를 살펴보면, 송파구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 서대문구 'DMC 가재울 아이파크', 관악구 '서울대벤처타운역 푸르지오', 광진구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 동대문구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 등 정비사업(재건축, 재개발)을 통해 공급되는 아파트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중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과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은 1000가구 이상 조성되는 대단지 아파트로, 조합원분 등을 제외하고 각각 296가구(전용 46~74㎡), 631가구(74~138㎡)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공급될 예정입니다. 'DMC 가재울 아이파크'의 경우 283가구 중 92가구가, '서울대벤처타운역 푸르지오'는 571가구 중 182가구가,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는 761가구 중 173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공급됩니다.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공급되는 일반분양 물량은 총 2만4783가구로 나타났습니다. 광역시도별로는 경기가 4990가구로 일반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가운데 강원(4493가구), 경남(3174가구), 인천(2845가구), 서울(2145가구) 등의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