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한강 이남권 자치구의 아파트 가격이 12주 만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의 2022년 4월 2주(4월 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0.01% 오른 것으로 집계되며 지난 1월 17일 이후 12주 만에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서울 한강 이북권은 -0.01%의 하락률로 12주 연속 내림세가 지속됐습니다. 권역별로 대조되는 모습을 나타내며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보합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주 보합권에 진입한 인천은 일부 단지에서 매물 적체 등이 나타나며 다시 하락률(-0.01%)로 진입했으며, 경기도는 재건축 기대감이 늘어나고 있는 지역에서 가격이 오르며 지난 주보다 하락폭이 축소(-0.03% → -0.01%)됐습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지난 주 72개에서 83개로, 보합 지역은 25개에서 26개로 증가했습니다. 하락 지역은 79개에서 67개로 감소했습니다.
서울 자치구별로 가격 상승추이를 볼 경우 강남구가 0.04%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4주 연속 오름세 행진과 함께 한강 이남권의 상승 전환을 이끌었습니다. 강남구는 개포동, 일원동 등 정비사업을 앞두고 있는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초구(0.02%)는 4주 연속 아파트 가격이 올랐으며 양천구(0.02%)는 목동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며 12주 만에 오름곡선을 그었습니다. 한강 이북권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용산구(0.03%)는 정비사업 추진 단지 및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 내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며 3주 연속 오름세가 지속됐습니다.
하락세로 전환한 인천시는 부평구(-0.04%), 남동구(-0.03%), 동구(-0.02%) 내 일부 단지에서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기도는 새 정부의 정비사업 규제완화로 재건축 기대감이 높아진 평택(0.22%)에서 아파트 가격이 두드러지게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안성(-0.01% → 0.08%)과 안산(-0.01% → 0.03%), 의정부(-0.03% → 0.03%)는 하락에서 상승으로, 김포(0.02%)와 광주(0.01%)는 보합권에서 오름권으로 진입했습니다.
지방권은 0.01%의 상승률로 4주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습니다. 전북, 경남(이상 0.10%)을 비롯해 경북(0.06%), 강원, 제주(이상 0.04%), 충북(0.03%)에서 상승세를 나타내며 지방권 상승 흐름을 이끌었습니다.
세종은 -0.20%의 하락률을 나타내며 38주 연속 하락세가 지속됐으며 지난 주보다 하락폭이 -0.12% 확대됐습니다. 입주물량 증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대구는 -0.13%의 하락률로 22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서울시는 정비사업을 추진하거나 지역개발 기대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값 상승폭이 확대된 모습"이라며 "지방은 거주여건 또는 교육환경이 양호하거나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