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는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이마트의 전략, 경제·사회·환경적 활동과 성과,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과정 등이 담겨있습니다.
보고서는 ▲ESG활동을 담은 ‘Sustainability Highlights’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중대성평가 등을 담은 ‘Introduction to Sustainability’ ▲환경경영·동반성장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Sustainability Performance’ ▲재무제표 및 ESG관련 데이터가 포함된 ‘Appendix’ 총 4가지 챕터로 구성됐습니다.
이마트는 ‘emart tomorrow, 지구의 내일을 우리가 함께’라는 ESG비전 아래 지속가능한 내일을 위한 4대 중점 분야로 환경경영·지속가능상품·동반성장·사회책임을 꼽았습니다.
먼저 ‘환경경영’ 측면에서는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위한 에너지 절감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 재활용 활성화 등 순환경제를 구축합니다. ‘지속가능상품’ 유통을 위해 친환경상품 및 지속가능 인증 상품을 확대하고, 지속가능상품의 연구를 지속해 제품 안전 및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또 유통 가치사슬 전반의 ESG 경영을 주도해 ‘동반성장’에 앞장선다는 방침입니다. 협력사 ESG 리스크 관리 및 지원을 강화하고 공급망 ESG 관리 등이 골자입니다.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사회적 가치 경영을 실현하며 ‘사회책임’을 강조합니다. 공정거래, 반부패·윤리경영을 실현하고 정보보안에도 나섭니다.
이마트는 이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상품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E)’, ‘노브랜드 상생스토어(S)’, ‘거버넌스 강화(G)’ 세 가지를 주요 사례로 소개했습니다.
지난달 이마트는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상품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PSI)’의 기준과 핵심 과제를 제시한 가이드북을 발행했습니다. 해당 가이드에 WWF(세계자연기금)와 함께 연구한 지속가능한 원재료·소싱, 패키징·플라스틱 관련 연구 성과를 담았습니다.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는 상품과 고객층이 서로 다른 전통시장과 대형마트가 함께 위치해 성장을 도모하는 모델로 이마트의 동반성장을 위한 노력 중 하나입니다. 1호점인 당진전통시장점은 입점 1년만에 전통시장 주차장 이용건수가 2배 이상 증가했다는 설명입니다.
또 이마트는 이해관계자와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홈페이지와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배구조 보고서를 포함한 필요 정보들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과 10월에는 각각 이사회 내 사회공헌 위원회를 ‘ESG 위원회’로 확대 개편, ESG 전담 조직인 ‘지속가능혁신센터’를 신설했습니다.
형태준 이마트 지속가능혁신센터장은 “이마트가 준비하는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들어가기 위한 과정과 계획을 공유하고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게 됐다”며 “앞으로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