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네이버가 지난 6월 선보인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식당·카페 등 장소 탐색 경험을 한층 효율화하며 사업주의 영업 활동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버[035420]는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균 체류 시간과 클릭률 등 관련 주요 지표들을 분석한 결과 눈에 띄는 상승률이 확인됐다고 21일 밝혔습니다.
플레이스 AI 브리핑은 네이버 플레이스에 등록된 식당과 카페 등 업체에 관한 최신 리뷰를 AI가 요약해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리뷰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주요 특징 등 핵심 정보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네이버 앱이나 지도앱을 통해 특정 업체를 검색하면 AI가 분류한 사진 정보와 실사용자 리뷰를 바탕으로 대표 메뉴의 특장점, 장소의 분위기와 특징, 유의사항·예약 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같은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은 도입 이전과 비교했을 때 플레이스 검색 영역에서의 사용자 체류 시간이 늘어나고 추가 탐색 활동도 더욱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먼저, 업체 정보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사용자 평균 체류시간은 도입 이전과 비교해 10.4% 늘어났습니다. 또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 추가 탐색 활동을 의미하는 클릭률 역시 27.4% 증가했습니다.
특히, 실제 업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더보기' 탭의 클릭률은 137% 늘었고 메뉴 더보기는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AI 브리핑을 통해 요약된 정보를 확인한 뒤 세부 정보를 추가 탐색하기 위해 상세 메뉴 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또 플레이스 AI 브리핑을 통한 탐색 활성화는 예약·주문 증가로 이어지며 실제 영업 활동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버가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를 대상으로 AI브리핑 노출 이전과 이후의 예약·주문 건수를 비교한 결과 약 8%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플레이스 AI 브리핑을 통해 ▲대표 메뉴 ▲공간 분위기는 물론 ▲예약 방법 ▲유의사항 등 실제 주문이나 방문에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해당 업체에 대한 이용 의사를 높여준 덕분으로 풀이됩니다.
네이버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플레이스 AI 브리핑 검색 경험을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현재는 상호명 검색어에만 AI 브리핑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음식점 주차 여건 ▲아기 의자 제공 여부 등 탐색 대상 장소 관련 부가 정보를 묻는 검색어에 대해서도 AI 브리핑으로 답변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음식점·카페뿐만 아니라 숙박, 미용, 명소 등 다양한 업종에 AI 브리핑을 적용해 장소를 찾는 질의에 대한 커버리지를 연내 두 자릿수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최지훈 네이버 플레이스 검색&콘텐츠 총괄 리더는 "네이버 플레이스에 누적된 양질의 리뷰 데이터가 AI 브리핑의 품질과 정확도를 높이면서 이용자들의 정보 탐색과 선택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