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마지막 대규모 가용지로 꼽히는 용산정비창 일대 약 50만㎡ 부지 개발사업이 10년 만에 다시 추진됩니다. 서울시는 용산정비창에 초고층 건물과 공원 등이 들어서는 국제업무지구를 조성해 미래 서울의 중심지 및 아시아 실리콘밸리로 육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6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을 발표했습니다. 구상은 국제업무지구로 개발될 용산정비창 일대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이며, 서울시는 이를 바탕으로 용산정비창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용산정비창 부지는 서울에 남은 마지막 대규모 ‘금싸라기’ 입지로 여의도공원의 2배, 서울광장의 40배에 달하는 49만3000㎡의 규모로 미래 발전거점이 될 수 있는 중심지로 기대를 모은 사업지입니다. 그러나 지난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최종 무산된 이후 10년 동안 방치돼 왔습니다.
개발구성에 따르면 용산정비창은 일자리와 R&D, MICE부터 주거, 여가‧문화생활 등 도시의 모든 기능이 갖춰지는 ‘직주혼합’ 도시로 조성됩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법적 상한 용적률인 1500%를 넘는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용산정비창을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할 방침입니다.
입지규제최소구역은 주거‧상업‧업무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용도지역 등에 따른 입지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건축물의 허용용도, 용적률, 건폐율, 높이를 별도로 정하는 규제특례를 의미합니다.
이와 함께 ,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업무와 상업 등 비주거시설로 구성하며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으로 전체 부지 대비 기반시설율(도로‧공원‧학교 등)은 40% 수준으로 정했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의 큰 틀로는 ‘융복합 국제도시’, ‘녹지생태도시’, ‘입체교통도시’, ‘스마트도시’ 4가지로 정했습니다.
융복합 국제도시의 경우 일자리, 주거, 여가, 문화 등 도시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을 한 곳에서 가능하다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최첨단 테크기업을 비롯해 R&D‧AI 연구소, 국제기구 등이 입주할 수 있는 업무공간과 MICE 시설, 비즈니스 호텔, e-스포츠 콤플렉스 등을 조성하고 서울투자청을 통해 글로벌 기업과 해외자본도 유치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융복합 도시를 실현하고자 용산정비창 부지를 여러 개의 획지로 나누고, 모든 획지는 업무, 주거, 상업 등 다양한 기능이 들어갈 수 있는 ‘다용도 복합개발’을 허용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용도 도입의 자율성을 높이고 복합적 기능 배치가 가능한 ‘비욘드조닝’의 개념이 처음으로 전면 적용됩니다.
녹지생태도시의 경우 50% 이상의 녹지율 확보를 바탕으로 국제업무지구에서 용산공원, 한강으로 뻗는 방사형 녹지체계를 구축해 조성할 계획입니다. 지구 중앙에는 어디서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규모 중앙공원을 조성하고, 철도부지에는 선형공원을 조성하는 등 고층건물 사이에 공원과 녹지가 펼쳐진 모습으로 조성됩니다.
입체교통도시는 지하도로와 모빌리티 허브 등의 구축을 통해 교통거점으로 거듭나고자 목표로 잡았습니다. 지하도로의 경우 강변북로, 한강대로, 청파로 등 간선도로와 연결되도록 개설해 주요 지역 접근성을 확보할 계획이며, 모빌리티 허브의 경우 미래항공교통(UAM), GTX, 지하철 등을 편리하게 환승 가능한 대중교통환승거점으로 조성됩니다.
스마트 도시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스마트물류 등 ICT 기반의 미래도시 인프라를 도시 전역에 구축해 스마트 기술을 선도하는 첨단도시로의 도약이 주된 목표입니다. 지구 내 도로에는 스마트 시스템을 탑재해 자율주행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주택에는 IoT(사물인터넷) 기반 관리시스템을 탑재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지능형 통합방재시스템’을 구축해 화재 등 재난상황 대응력을 높이고 전력망에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그리드’ 등도 적용해 건물 에너지 효율 향상 및 탄소저감에도 기여할 방침입니다.
개발은 민간 PFV(프로젝트금융회사) 주도의 통개발 대신 공공기관인 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코레일 70%, SH공사 30%)로서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적‧순차적 개발로 진행됩니다. 공공이 약 5조원의 재원을 투자해 부지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먼저 시행한 후 민간에서 개별 부지별로 하나씩 완성해가는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오는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과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는 구상입니다.
오세훈 시장은 "용산은 서울 도심, 여의도, 강남과 연결되는 지리적 중심지이자 철도 교통의 요충지로서 잠재력 높은 서울의 미래 중심지로 주목받아 왔다"며 "그러나 그동안 많은 부침을 겪으며 지난 임기 때 추진했던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사업이 2013년 최종 무산된 이후 추진 동력을 잃어버린 상태였다"고 밝혔습니다.
오 시장은 "용산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회를 극대화하고 변화된 여건과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차질 없이 실행해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견인하겠다"며 "최첨단 미래산업을 육성해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겠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