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최근 증시 하락이 약세장 진입보다는 기술적 조정에 가깝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같은 국면에서 판매량이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업종에 판매가격의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는 2차전지, 자동차, 반도체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전망이다.
23일 메리츠증권은 주식시장이 깊은 경기침체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다는 점에서 추세적인 약세장에 진입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핵심 요소는 부채 위기와 신용 위험이라고 덧붙였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부채의 경우 절대 규모는 늘어나고 있지만 GDP 대비 부채 규모는 2008년 금융위기 95%에 비해 크게 낮은 73.8% 수준으로 안정화돼 있다”며 “가처분 소득 대비 원리금상환 부담도 9.5%로 1980년 이후 평균인 11%를 하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메리츠증권은 향후 환율을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단기간의 급격한 환율 변동은 주식시장에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1분기, 2분기 기업이익이 시장 예상보다 선전하고 있다”며 “실질적인 기업이익 체력이 훼손됐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지속 가능성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2차전지, 자동차, 반도체 업종에 대한 주목이 유효하다”며 “2차전지는 판매가격과 판매량이 양호한 가운데 반도체와 자동차는 판매량의 힘으로 실적을 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