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코로나19는 푸드 트렌드를 바꿨습니다. 모임이 제한되면서 외식이 줄고 회사와 학교가 집으로 들어왔습니다. 늘어난 내식을 채울 수 있는 옵션으로 간편식이 부상했습니다. 현재는 팬데믹을 지나 포스트코로나를 향하고 있습니다. 간편식이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위치한 aT센터에서 '2023 식품외식산업전망대회'가 이틀 일정으로 개최됐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의 슬로건은 '대전환의 시대, 식품외식산업의 도전과 미래'입니다.
첫날이었던 16일, 2023년 푸드 트렌드부터 전자업계가 바라본 식품산업의 미래, 식품업계 친환경 전략 등을 논의했습니다. 글로벌 식품유통업계의 원료조달 시스템을 살펴보고 빅데이터를 통해 식품산업을 전망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문정훈 서울대 푸즈비즈랩 교수가 첫 번째 강연자로 나섰습니다.
코로나19가 퍼지면서 재택근무와 함께 재택수업이 보편화했습니다. 하루 식사 중 최소 한 끼를 학교에서 섭취하던 학생들이 감염병 우려로 등교하지 못하게 됐고 해당 식사를 가정 내에서 섭취하게 됐습니다. 급식이 가정 내 식사로 흡수되는 '급식의 내식화'로 주부들의 '돌밥(돌아서면 밥)' 고민이 커졌습니다.
가정에서 직접조리·음식배달·테이크아웃 등을 통해 내식 증가를 대처한 가운데 가격과 편의성, 시간 및 에너지 등을 고려했을 때 간편식이 최적의 선택지 중 하나로 떠올랐습니다. 다만 가정 내 급식을 먹는 자녀의 유무(급식가구·non급식가구)가 간편식 구매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팬데믹이 본격화한 2020년 급식가구는 전년 대비 튀김 구매금액이 2300원, 1인당 즉석밥류 구매금액은 1400원 증가했습니다. 급식으로 자주 나오던 메뉴를 간편식으로 구매하는 '내식의 급식화' 사례입니다. 세부적으로 컵밥이 전년 대비 880원, 볶음밥·필라프가 710원 각각 늘었습니다.
non급식가구 구매패턴은 이들과 상이했습니다. 2020년 1인당 컵밥 구매금액은 전년보다 500원가량 줄었고 볶음밥·필라프 구매금액은 전년과 차이가 없었습니다. RTE밥류(삼각김밥 등 별도 조리 과정이 필요 없는 밥류) 구매도 감소했으며, 1인당 튀김 및 기타즉석식품 구매금액은 소폭 증가에 그쳤습니다.
이듬해 간편식 구매 패턴의 변화가 여러 양상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식가구에서 1인당 컵밥과 즉석밥, 튀김류 및 기타즉석식품(피자·떡볶이 등) 구매금액이 2020년보다 줄었습니다. 반면 non급식가구의 컵밥 구매는 증가로 돌아섰으며 잡곡즉석밥 구매금액도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해 즉석덮밥소스류의 경우 급식가구에서만 1인당 구매금액이 전년 대비 평균 300원 늘었습니다. 두 가구 모두 코로나19로 인한 내식 증가 효과로 2020년 증가했으나, 해를 지나며 구매 방향성이 달라졌습니다. 급식가구는 즉석덮밥소스류 구매를 늘린 반면 non급식가구는 구매금액을 줄였습니다.
코로나19 발발 이전부터 지난해까지 증가세가 유지되는 카테고리도 있습니다. 1인당 즉석국탕찌개입니다. 급식가구와 non급식가구 전부 구매금액이 우상향했습니다. 특히 급식가구는 급식 필수요소인 국탕찌개를 내식화하며 더 많이 구매했습니다. 즉석면류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습니다.
샐러드의 인기도 눈에 띕니다. 탄수화물 소비 감소와 건강 및 채식에 대한 선호가 올라가면서 샐러드 간편식에 대한 선호가 두 집단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간편한 식사', '다이어트 식단' 등이 연관 검색어로 분류되는 만큼 코로나19 이후에도 증가세를 보일 것이란 분석입니다.
문정훈 교수는 "코로나19로 간편식이 급격히 성장했고 두 세그먼트(급식가구·non급식가구)에서 포스트코로나에도 성장하는 품목이 뭔지 보려고 했다"며 "즉석국탕찌개와 즉석면, 샐러드 이 3가지에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소비를 늘리고 있기에 결국 2023년에도 가장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코로나19는 간편식의 시장의 크기를 분명 키웠습니다. 농식품부와 한국농식품유통공사는 국내 간편식 시장 규모가 2020년 대비 급성장, 올해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농촌진흥청 소비자패널 구매자료에 따르면 2020년과 달리 지난해 증가세가 다소 정체되는 듯한 모습입니다.
식품업계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간편식 중 '냉동 밀키트' 성장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냉장 대비 포장 간소화를 통한 폐기물 감소, 조리 간편성 및 유통기한 증가 등이 장점으로 언급됩니다. 최근 외식물가 상승 역시 냉동 간편식 선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됩니다.
문 교수는 "냉동 밀키트로의 전환과 함께 패키지가 줄고 레시피가 단순해지면서 간편식과 밀키트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밀키트를 프리리엄 형태 간편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업체의 경우 포스트코로나에도 오히려 밀키트 판매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