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에게 다시 한 번 문책성 경고를 하며 내년 3월 우리금융그룹의 인사에 대한 입장을 숨기지 않았습니다. 최근 금융권에서 제기되는 '관치금융' 의혹에 대해서는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김주현 위원장은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차 금융규제혁신회의' 이후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라임펀드 환매중단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것과 관련해 "CEO인 손태승 회장에 라임펀드 책임이 명확하게 있다"고 직격했습니다.
이어 "금융위는 여러차례 회의를 거쳐 라임펀드 사태를 단순한 직원 문제가 아니라 CEO까지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결정했다"며 "손태승 회장에 책임이 있다고 감독당국이 명확하게 판정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CEO인 손태승 회장에 라인펀드 책임이 명확하게 있다고 판정한 만큼 더 이상 추가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은 앞서 한달여 전 손 회장의 거취와 관련해 "현명한 판단을 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공조를 취하면서 금융당국 수장으로서 사실상 공개 경고장을 날렸다는 분석입니다. 김 위원장은 이 금감원장의 발언에 대해서도 "상식적인 말 아니냐?"고 동의했기 때문입니다.
김 위원장은 금융권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관치금융 부활 논란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반박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관치금융 논란은 건설적인 논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일률적으로 관료출신이 나쁘다고 볼 것이 아니라 후보자 개인에 대해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차기 기업은행장 후보로 정은보 전 금감원장이 거론되고 있다는 질문에는 "(기업은행장 임명은) 금융위 제청으로 이뤄지므로 복수후보자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며 "후보자 중 한명인 것은 맞다"고 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정부는 민간 중심을 내세웠다"며 "기업은행 같은 정부 은행은 (정부가) 하는 것이고 민간은 민간 쪽에서 최대한 자율적으로 인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주인없는 금융사에 CEO 우호세력이 돌아가면서 인사하는 '내치'는 올바른 것인지 의문"이라며 "어떤 CEO가 어떤 생각을 갖고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경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금융권 인사에는 원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금융권 규제를 총괄하는 금융위와 금감원의 수장에게서 조직 최고책임자의 거취에 대한 압박성 발언이 나오면서 내년 3월 우리금융그룹의 인사는 다시금 불확실성 속으로 빠져들어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계 CEO 인사를 놓고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마치 힘겨루기를 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가 출범 당시 시장경제회복을 강조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의 발언은 본인이 부정한다고 해도 시장에 개입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