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미세 상향조정하면서 5%대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올 들어 두 차례 기준금리 연속동결로 연 3.50% 유지를 택한 한국은행은 한미간 가장 큰 폭의 금리역전이라는 부담을 안게 됐습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내 기준금리를 0.25%p(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현재 4.75∼5.00%인 미 기준금리는 5.00∼5.25%로 상승합니다. 이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 수준에 달한 것으로 연준이 지난해 3월부터 10회 연속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온 결과입니다.
연준은 성명에서 "최근 몇달간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진단하면서 "가계와 기업에 대한 엄격한 신용상황은 경제활동·고용·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고 그 영향의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연준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상당히 주의하고 있다"고 금리 상향 배경을 밝혔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향후 기준금리 동결이나 통화정책의 방향을 전환하는 이른바 피벗(pivot) 가능성에 대해서도 시기상조라고 못박았습니다.
파월 의장은 FOMC 정례회의에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금리 동결 여부를 묻는 질문에 "동결에 관한 결정은 오늘 내려지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또 "FOMC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해소에) 시간이 걸릴 것이고 그러한 관측이 대체로 맞다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 우리는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행진에 한미간 기준금리 차는 1.50∼1.75%포인트로 추가 확대됐습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월과 4월 잇따라 연 3.50%인 현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최고 1.75%포인트에 달하는 양국의 금리역전 폭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이는 국제결제와 금융거래 중심화폐 즉 기축통화인 달러 강세와 원화가치 하락 압력을 키우고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가능성은 커집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그간 수차례 "한미 금리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피력해왔지만 커지는 원·달러 환율상승과 외국인 자본유출 압력을 외면하기는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시장의 분석입니다.
한은은 오는 25일 상반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의를 앞두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