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강스템바이오텍이 2년 만에 또다시 대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한다고 밝힌 후 주주들의 볼멘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주식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주주가치가 훼손되는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이번 유증에서도 대주주는 저조한 참여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돼 경영권 상실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반복되는 대규모 주주 배정 유증과 연구 성과 부진으로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주가는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던 지난 2019년 고점 대비 10분의 1 토막이 난 상황이다.
성과 부진·유증 반복에 ‘주식수 급증→주가 하락’
4일 금융투자업계 및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내내 3000원 전후를 오가던 강스템바이오텍의 주가는 최근 대규모 유증 발표로 인해 1000원대로 수직낙하했다. 지난달 14일 하한가를 기록하는 등 급락세를 이어가며 1882원까지 추락한 뒤 최근 소폭 반등해 1999원을 형성하고 있다.
지난달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 2015년 상장 이후 다섯번째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357억원 규모인 이번 유상증자가 예정대로 완료되면 총 1600억원을 외부로부터 조달하는 셈이 된다. 다섯차례 가운데 주주를 대상으로 자금을 모은 세차례 유상증자의 총 규모는 1105억원에 달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상장 당시 1381만여주였던 강스템바이오텍의 총 주식수는 현재 3793만여주로 급증했고, 이번 유증을 거치면 약 5600만주로 늘어날 전망이다.
경영 부실로 자금 사정이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주주들에게 신주를 찍어 팔자 주식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는 상장 이듬해인 2016년부터 7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서 결손금이 올 상반기말 기준 1468억원에 달하고 있다. 매년 100~200억원대의 적자가 지속되면서 7년간 누적 영업손실은 1177억원에 달하고 순손실은 1200억원을 넘어선다. 지난해에는 연결 기준 매출액 163억원과 함께 영업손실 205억원, 당기순손실 20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상장 당시 회사 측이 내놓은 전망치와 큰 괴리를 보인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상장 당시 2019년에 286억원의 매출액과 13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아직까지 한 차례도 흑자를 기록하지 못했다.
재무 상황이 열악하고 실적이 부진하다보니 지난 2021년부터는 관리종목 지정이 염려되는 상황에 놓였다. 2015년 기술 특례로 상장해 5년의 유예 후 2021년 실적부터 별도 기준 매출액이 30억원 미만에 그치면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발생할 위기에 직면했다.
지난 2020년 별도 기준 매출액이 3억원을 하회했지만 2021년 화장품 관련 자회사 라보셀을 흡수합병해 별도 기준 매출액 37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수익성 개선은 이뤄지지 않으며 관리종목 지정을 피하기 위한 면피용 합병이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주주 상대 748억 조달했지만 대주주 참여는 10억 미만
이같은 상황 속에서 회사는 지속적으로 외부로부터 자금을 수혈해 왔지만, 정작 대주주는 지분율 하락과 지배력 약화에도 불구, 유증 참여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이번 유상증자에서도 30% 초반의 참여율을 예고하며 큰 폭의 지분율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창업자이자 대주주인 강경선 강스템바이오텍 회장은 지난 2018년 첫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청약 물량의 약 20.6%만 참여했다. 이후 지난 2021년 주주배정 유상증자에서도 지분율 대비 39.8% 참여에 그쳤다. 강 회장은 참여하지 않은 물량에 대한 신주인수권은 모두 장외매매를 통해 현금화를 시도했다. 결국 두 번의 유상증자에서 10억원이 안되는 자금만 투입해 참여했다. 반면 회사가 두 차례의 유상증자를 통해 주주들로부터 조달한 자금은 748억원에 달한다.

강 회장은 이번에도 보유 지분의 30% 초반 참여율을 예고했다. 강 회장의 지분율은 상장 당시 17.69%였지만 수차례 유상증자에서 소극적 태도를 보여오며 이번 유상증자가 예정대로 완료된다면 지분율이 5% 이하로 떨어지게 됐다.
이렇다 보니 지배력 약화에 이은 경영권 상실에 대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증권신고서에서 “금번 증자로 인해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감소할 수 있으며, 향후 적대적 기업인수 등으로 인한 경영권 분쟁이 대두될 가능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일반 주주들의 유상증자 참여도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가 1985원인데 최근 주가 급락으로 현재 주가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 재작년 진행한 유증에서도 최초 예정 발행가가 4040원이었지만 주가 급락으로 최종 발행가는 3150원까지 내려간 바 있다.
강스템바이오텍 관계자는 “일반 주주 중에도 우호주주가 확보돼 있어 경영권 방어 관련해서는 이슈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