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알에프세미가 LFP 배터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장기 성장 동력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여기에 손실이 확대되고 있는 사업부를 분리해내는 물적분할을 통해 재무 구조 개선까지 함께 꾀한다는 계획이다.
알에프세미는 29일 여의도에서 기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앞으로의 기업 성장 방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알에프세미는 지난 1999년 설립돼 2007년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6월 최대주주가 이진효 외 5인에서 진평전자로 바뀌었다.
알에프세미는 LFP배터리 전문 기술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이번달부터 신제품인 K1 배터리를 양산해 국내 및 글로벌 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현덕수 알에프세미 리튬전지사업본부장은 “32700 K1 배터리는 타사의 32700 배터리와 비교했을 때, 고용랑, 고출력의 특징을 보인다”며 “제품 경쟁력과 더불어 품질 관리에 있어서도 강점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알에프세미는 10kWh 미만의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한다는 계획이다. 대기업들이 뛰어들고 있는 자동차, 버스, ESS 분야가 아닌 지게차, 전기스쿠터, 전기 트럭 등의 부문에 배터리 납품을 계획하고 있다.
회사는 LFP배터리 사업 추진과 더불어 재무 구조 개선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특히, 영업손실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LED 조명 사업부를 물적분할해 영업이익의 흑자전환을 이끌어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알에프세미는 지난 9일 LED 조명 사업부를 물적분할 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이정환 알에프세미 경영관리본부장은 “손익에 대한 비중이 큰 것 뿐만 아니라 장기 재고 처리에 있어서도 물적분할이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했다”며 “이후 존속법인인 알에프세미는 LED 조명 사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구본진 알에프세미 대표는 “현재 배터리를 다양한 지역 및 회사에 보내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며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 시 시장에 바로 알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