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최근 트렌드를 보면 스카치 위스키보다 더 빨리 성장하는 게 논 스카치 위스키 시장이다. 페르노리카코리아의 포트폴리오는 방대하다. 스카치 위스키뿐 아니라 논 스카치 위스키 시장의 성장도 주도할 수 있으며 그 중심에 있는 것이 아이리쉬 위스키다.”
미구엘 파스칼 페르노리카 코리아 마케팅 총괄 전무는 13일 서울 강남구 메종 르 서클에서 진행된 ‘레스 브레스트 15년’ 한국 론칭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신제품을 출시하며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논 스카치 위스키 시장을 이끌겠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레드브레스트는 1800년대부터 이어진 아일랜드의 위스키 제조 방식 '싱글 팟 스틸'을 적용해 위스키를 생산하는 브랜드입니다. 싱글 팟 위스키는 발아하지 않은 생보리와 몰트(발아 보리)를 혼합해 구리 단식 증류기에서 만들어집니다. 총 3회의 증류 과정을 거쳐 부드러움과 풍미를 끌어올렸습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침체하던 국내 위스키 시장은 전환점을 맞게 됩니다. 홈술·혼술 문화가 확산하면서 주류 트렌드가 달라졌고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MZ세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위스키 소비 문화가 형성됐습니다. 위스키가 '아재 술'에서 '핫한 술'로 부상한 순간입니다.
한국의 위스키 시장은 이끌어온 건 스카치 위스키입니다. 전체 시장 규모로 보면 스카치 위스키 점유율이 여전히 높습니다. 하지만 최근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스카치 위스키 외 아이리쉬와 버번에서 새로운 브랜드가 국내 시장에 대거 등장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습니다.

미구엘 파스칼 전무는 "현재 위스키 시장의 글로벌 동향을 살펴보면 아직까지 스카치 위스키의 시장 점유율이 높긴 하다"며 "하지만 아이리쉬 및 버번 위스키 등 논 스카치 위스키가 지난 5년 간(2014년~2019년) 적게는 3.6%에서 최대 15.3%까지 성장한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역시 글로벌 시장과 유사한 흐름입니다. 국제주류연구기관 IWSR에 따르면 국내 수입 위스키 시장에서 블랜디드 스카치 비중이 2017년 81.5%에서 지난해 51.4%로 30.1%p 떨어졌지만, 같은 기간 논 스카치 위스키(아이리쉬, 버번 등) 비율은 8.8%에서 지난해 31.7%로 5년 사이 3.6배 증가했습니다.
한 가지 제품이나 브랜드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종류와 방법을 선호하는 MZ세대 주류 성향이 위스키 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다는 해석입니다. 실제로 정통 스카치 위스키 외 다양한 카테고리의 위스키 제품을 찾는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미구엘 파스칼 전무는 "세계 위스키 시장 동향이 국내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한다"며 "특히 한국은 위스키 시장 자체가 성장하고 있어 아이리쉬 및 버번 등 논 스카치 위스키 시장이 동반 성장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페르노리카 코리아의 레드브레스트 신제품은 지난해 12년산 출시 이후 1년 만입니다. 레드브레스트 15년은 싱글 팟 스틸 제조방식을 기본으로 최상급 버번 캐스크와 셰리 캐스크에서 최소 15년 이상 숙성된 원액으로 만들었습니다. 필 캐스크와 리필 캐스크를 함께 사용한 게 특징입니다.

이번 레드브레스트 15년 국내 론칭을 기념해 페르노리카의 아이리쉬 위스키 증류소를 총괄하는 빌리 레이튼 마스터 블렌더와 케빈 오고먼 마스터 디스틸러가 방한했습니다.
빌리 레이튼 마스터 블렌더는 "레드브레스트 15년 같은 경우 12년과 비교해서 가장 큰 차이는 연산인데 그냥 3년을 더한 것은 아니다"라며 "15년은 리필 캐스크를 사용하며 기존 미들턴 증류소의 특징적인 향미가 제품에 더 많이 풍겨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쓰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한국 위스키 시장은 몇 년 새 괄목한 만한 성장을 보여준, 전 세계가 주목하는 시장 중 하나"라며 "레드브레스트가 아이리쉬 위스키의 근본이 되는 오랜 전통을 고수해 온 브랜드인 만큼 한국 소비자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선사하는 위스키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페르노리카 코리아는 오는 18일까지 메종 르 써클에서 레드브레스트 15년은 물론 크래프트 버번 위스키 래빗홀의 신제품 '래빗홀 데어린저'를 함께 만날 수 있는 전시회를 진행합니다. 수도권 주요 몰트바 바텐더 및 국내 위스키 애호가들을 초청할 예정입니다.
레드브레스트 15년의 알코올 도수는 46도로 12년(40도)보다 높습니다. 출고가는 16만원입니다. 신제품은 전국 주요 몰트바 업장을 비롯해 주요 백화점 및 주류전문점 등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