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해 서울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과 '금관구(금천, 관악, 구로)'가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를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당 권역의 경우 '강남 3구'와 가격 차이가 3배 가량 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2일 부동산R114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2.95%를 기록했습니다. 전년인 2022년 변동률인 -1.45%보다 약 2배 가량 내림폭이 확대된 수치입니다.
서울에서는 송파구가 2.52%의 상승률로 2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송파구는 전년 -7.62%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가격 하락률을 기록한 바 있는데 지난해 상승률을 기록하며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송파구는 주요 대단지인 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등이 시세를 주도하고, 올림픽 3대장(올림픽선수기자촌, 올림픽훼밀리타운, 아시아선수촌) 아파트의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와 '2040 서울플랜'을 적용한 잠실주공5단지 등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가격 상승을 뒷받침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에 반해 '노도강', '금관구'는 가격 내림폭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도강'은 도봉구(-8.95%), 강북구(-7.58%), 노원구(-6.98%) 순으로, '금관구'는 관악구(-8.56%), 구로구(-7.33%), 금천구(-6.46%) 순으로 하락폭이 높았습니다.
해당 지역은 서울에서 중저가 아파트가 대거 밀집한 곳으로 매매시장 활성화 시점에는 청년들의 '영끌' 러시가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자 상환부담과 급매물 증가로 하락거래가 발생하고, 하반기 대출 종료 등으로 거래량 또한 둔화되며 매매가격 내림세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8770만원으로 조사됐습니다. '강남 3구'와 용산구는 자치구 평균 가격 최상단에 자리하며 서울에서 가장 비싼 지역임을 입증했습니다. 서초구가 27억5499만원으로 가장 높은 가운데 강남구(25억3687만원), 용산구(18억5954만원), 송파구(18억3869만원)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내림세가 심화된 중저가 지역은 강남권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도봉구(6억2694만원)가 가장 낮은 가격을 기록했으며, 금천구(6억9300만원), 강북구(7억811만원), 노원구(7억2209만원), 중랑구(7억3008만원), 구로구(7억9332만원), 관악구(8억1515만원) 순으로 가격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도강'과 '금관구'를 합친 평균 가격은 각각 6억8572만원, 7억6715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두 지역을 강남 3구(23억7685만원)와 비교할 경우 각각 16억9113만원, 16억970만원으로 약 3배 가량 차이를 보였습니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딘 상황에서 지역간 집값 양극화가 심화됨에 따라 서울의 주거 상향 이동과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 움직임이 당분간 주춤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동북권 및 서남권 외곽지역은 매도매수자간 팽팽한 눈치보기가 이어지면서 가격을 낮춘 급매물 위주로 간헐적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백 책임연구원은 "관망세가 장기화될수록 가격 하방 압력이 강해져 서울 핵심지와 가격 격차가 벌어진 상태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