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5일 배당성향을 최대 40%까지 상향하고 분기배당 도입을 골자로 하는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공시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업은행은 국내 유일한 상장 국책은행으로 시장성과 공공성을 균형있게 추진해 근본적인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주주·고객·사회와 은행의 가치를 함께 높인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중장기 10% 이상의 자기자본이익률(ROE) 달성을 목표로 수익 다변화, 비용관리 혁신, 미래성장, 경영진 시장소통 확대에 나섭니다. 2023년말 기준 기업은행의 ROE는 8.8%로 국내 4대 금융지주(8.5%)에 비해 높지만 미국 주요은행(10.3%)보다는 낮습니다.
자기자본비용(COE)은 자산가격결정모형을 활용해 내부 산출한 결과 10%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ROE가 COE보다 낮은 경우 주주환원 확대를 통해 밸류업이 가능하다고 기업은행은 판단합니다.
기업은행은 ROE는 높이고 COE는 낮춰 PBR(주가순자산비율) 1.0배를 달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올해 6월말 기준 기업은행의 PBR은 0.35배로 은행업종 평균(0.44배) 대비 다소 낮은 수준입니다. 기업은행은 "최근 격차가 축소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기업은행은 수익 다변화를 위해 중소기업금융 초격차를 확대하고 리딩뱅크 지위(점유율 23% 이상)를 강화합니다.
개인·소상공인·기관·중견기업 등으로 고객기반을 넓히는 한편 카드·연금·자산관리 등 비이자이익을 증대합니다. 기업은행은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수익성 하락 전망에도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 노력을 통해 단기 ROE 8% 이상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주주환원을 확대하기 위해 보통주자본비율(CET1)과 연계해 40%까지 점진적으로 배당성향을 상향합니다.
작년말 기준 기업은행의 배당성향은 29.4%로 국내 4대 금융지주(28.4%) 대비 높습니다. 최근 5개년 평균 배당성향은 27.0%로 업계 최고 수준이지만 미국 주요은행(39.1%)에 비해선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기업은행은 중장기 CET1 목표를 12.5%로 설정하고 구간에 따라 최대 40%까지 현금배당 점진상향을 추진합니다.
현재 CET1 규제비율인 9.5%에 향후 발생가능한 경제위기에 대비해 안정적으로 은행 경영을 할 수 있는 자본 버퍼 3%를 합산해 CET1 목표를 12.5%로 정했습니다.

또 주주현금흐름 개선과 배당락 완화를 통한 주가안정을 위해 분기배당을 도입합니다. 분기배당을 도입하려면 정관 개정이 선행돼야 하는데 주주총회 의결, 금융당국 인가 등 관련 절차를 고려해 내년 상반기중 정관개정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업은행은 "지속적인 이익개선을 위해 이자·비이자 부문의 균형성장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확보된 자본여력을 다시 중소기업금융 확대와 주주환원에 사용하는 'IBK 이익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