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제테마가 내년 필러와 톡신 수출 확대로 성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필러의 중국 시장 진출이 예상되는 가운데 톡신의 국내 품목 허가 획득 등으로 수익화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2009년 설립된 제테마는 지난 201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히알루론산 필러, 보툴리눔 톡신을 활용한 바이오 의약품, 조직 봉합 및 안면 고정 리프팅실 등의 제조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제테마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품의 국내 판매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로 톡신 사업이 수익화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국내 허가를 기점으로 내년 톡신 추가 매출은 최소 내수 20억원, 수출 50억원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제테마는 국내 톡신 업계에서 7년간 이어지고 있는 균주 특허 분쟁에서 자유롭다"며 "2017년 영국 국립보건원으로부터 균주 상업화 권리를 도입한 이후 자체 공정 기술을 확보하며 안정적인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달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식약처 허가 이후 내년부터 톡신 관련 매출 발생이 시작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내년 영업이익은 톡신 매출 증가로 전년 대비 64%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수출 증가로 외형 성장이 이뤄질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필러 수출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톡신의 해외 시장 진출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필러 매출의 80%가 수출이다"며 "유럽CE인증을 받아 현재 60개국에 수출 중이며 수출비중은 유럽 30%, 중남미 25%, 아시아 20% 등"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년 2분기에 중국 품목허가를 받는다는 목표이며, 중국 화동에스테틱을 통해 하반기부터 수출이 발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 연구원은 "내년 주요 해외시장으로 톡신 진출 일정이 다가오고 있다"며 "톡신에 대한 국내 품목허가로 내년에 국내 및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1분기에 튀르키예 품목허가를 거쳐 2분기부터 수출이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수출 중심으로 톡신 매출이 20~30% 증가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손현정 연구원은 "향후 이미 체결된 약 9000억원 규모 수출 계약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브라질, 태국, 호주, 뉴질랜드 등 진출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제테마의 올해 3분기 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 2.1% 줄어든 140억원, 16억원을 기록했다. 이달미 연구원은 "3분기 인식돼야 했던 필러 약 10억원 수준이 4분기로 이연됐다"며 "톡신은 중국 내 통관 이슈로 3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2.6%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내년 제테마의 영업이익은 100억원을 넘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유안타증권은 내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850억원, 110억원으로 전망했다. BNK투자증권과 상상인증권은 제테마의 내년 영업이익을 160억원, 180억원으로 예상했다.
한편 제테마의 주가는 10월 이후로 변동성을 키웠다. 10월 초 1만6000원대를 기록하던 주가는 2만원 대까지 치솟았다가 1만7000원대 까지 주저앉았다. 이후 다시 2만원 초반대를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현재 1만원 중후반대를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