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는 이성만 박사과정생(화학과)의 색 변화 기반 현장 감지 센서 개발 연구가 세계적 국제학술지에 최근 게재됐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이성만 박사과정생과 이송이 교수(화학과), 신중호 교수(의공학전공)가 참여한 융합연구로 고독성 환경오염물질 시안화물을 육안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은 시안화물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리셉터를 폴리디아세틸렌 기반 고분자 시스템에 통합해 시안화물 존재 시 색상이 푸른색에서 주황색으로 변하는 PDA-BMN 센서를 설계했습니다.
이 센서는 0.55 μM의 낮은 검출한계를 기록해 WHO 권고 음용수 기준 1.9 μM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감지가 가능한 성능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특히 센서를 종이 기반의 측면흐름분석 스트립에 탑재해 고가 장비 없이 현장에서 즉시 독성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확장한 의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LFA 스트립의 유체 흐름 속도를 조절하는 부분 프레스 기법을 도입해 감지 민감도를 크게 높이는 기술적 성과도 함께 제시했습니다.
이송이 교수는 “이번 성과는 스마트 환경센서 및 현장 진단 분야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융합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립부경대 G-LAMP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환경 감시 분야에서 손쉽고 정확한 현장 진단을 가능케 하는 차세대 분석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