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국내 게임사들의 1분기 실적이 잇따라 발표됨에 따라 신작의 유무와 흥행 여부가 이들의 성적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선, 크래프톤[259960]은 지난달 29일 매출 8742억원, 영업이익 45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3%, 47.3% 증가하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꾸준히 호실적에 기여한 '배틀그라운드' IP의 확장과 더불어 지난 3월 출시한 신작 '인조이'가 발매 일주일 만에 100만장의 판매량을 올리며 크래프톤의 역대 신작 중 가장 빠른 흥행 기록을 세운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입니다.
넥슨[225570]도 3월에 출시한 신작 '마비노기 모바일'과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흥행으로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3일 실적 발표를 앞둔 넥슨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당시 올해 1분기 매출을 1조 164~1129억원, 영업이익은 2741~3275억원, 순이익은 2033~2458억원으로 예상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최대 13%, 영업이익은 20% 증가하는 것입니다.

넷마블[251270]도 신작 효과에 힘입어 '깜짝' 호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넷마블은 8일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6239억원, 영업이익 49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으며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243.2% 급증했습니다.
넷마블의 '어닝 서프라이즈'에는 지난해 말 업데이트를 진행한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와 3월 출시한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의 흥행이 주효했다는 분석입니다.
반면, 1분기 신작이 부재했던 엔씨소프트[036570]와 카카오게임즈[293490]의 실적은 부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엔씨소프트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658억 원, 80억 원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8%, 68.87% 감소한 값입니다. 엔씨소프트의 실적을 견인해 온 '리니지' IP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지난해 출시한 '호연' 등 신작들이 흥행에 실패하며 나온 결과로 분석됩니다.
카카오게임즈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229억원과 영업손실 12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습니다. 주 수입원인 '오딘: 발할라 라이징'을 제외한 게임들의 매출이 부진하며 지난해 12월 서비스한 '패스 오브 엑자일 2' 역시 힘을 쓰지 못한 것이 2분기 연속 적자를 만들었다는 평가입니다.

이에 양사는 하반기에 연이어 신작을 출시해 반등을 노린다는 계획입니다. 엔씨소프트는 ▲아이온 2 ▲LLL ▲브레이커스 등을 선보일 예정이며 카카오게임즈도 ▲섹션 13 ▲가디스오더 ▲프로젝트 C ▲SM 게임 스테이션(가제) ▲프로젝트 Q ▲크로노 오디세이 등 다수의 신작을 출시해 실적 개선을 꾀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