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방배신삼호아파트의 재건축 시공사 선정 총회가 오는 26일 오후 4시 개최됩니다. 이번 총회는 수년간 표류해온 사업의 정상화를 가를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시공사가 확정될 경우 내부 혼란 수습과 함께 연내 인허가 절차 착수 등 사업 본격화가 가능해지지만, 반대로 부결될 경우 장기 표류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방배신삼호 재건축조합은 두 차례 경쟁입찰이 유찰된 이후 수의계약으로 전환하고, HDC현대산업개발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했습니다. 이후 조합은 조합장 해임, 직무대행 체제 전환, 직무대행 교체 등 짧은 기간 내 복잡한 내부 진통을 겪었습니다.
현재는 조합 정관에 따라 김 모 이사가 새 직무대행을 수락하고 조직 안정화에 나선 상태입니다. 다만 이번 총회에서 상정된 대의원 12명 해임안이 가결될 경우 정족수 미달로 의사결정 구조가 제한될 수 있어, 시공사 선정과 함께 조합 내 거버넌스 연속성 유지 여부도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한 HDC현대산업개발은 ▶평당 공사비 876만 원 ▶사업비 조달 금리 CD+0.1%(고정) ▶이주비 LTV 100% ▶사업촉진비 2,000억 원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계약이행보증 ▶책임준공확약 ▶구조결함 30년 보증 등 안정성 장치와 함께 ▶세대당 커뮤니티 5.5평 ▶천정고 2.75m ▶주차폭 2.7m ▶코너판상형 포함 판상형 비율 94% 등 설계 및 주거 편의성에서도 차별화된 조건을 내세운 상태입니다.
조합 측은 이번 총회를 통해 시공사가 확정될 경우, 연내 통합심의를 포함한 인허가 절차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19년 조합 설립 인가 이후 답보 상태였던 사업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방배신삼호는 2022년 한 차례 일몰제 유예를 받은 바 있어 이번 총회가 사업 지속을 위한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정비 전문가도 “내년 서울시장 선거 등 외부 정책 환경 변화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정권 교체나 정책 전환 시 고층 제한이나 용적률 축소 등 규제 강화가 예상되며, 이는 현재 조합이 추진 중인 41층 설계안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배신삼호 재건축은 총 920세대 규모로 계획돼 있으며, 26일 총회 결과에 따라 서초권 핵심 주거지로의 전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