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과 대웅테라퓨틱스(대표 강복기)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을 탑재한 자체 개발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사람 대상 초기 약물 흡수 시험에서 주사제 대비 80% 이상의 생체이용률을 확보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험은 대웅테라퓨틱스의 약물전달 기술 플랫폼 ‘클로팜’을 적용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에 대한 세계 최초 인체 적용 결과입니다. 건강한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패치를 부착해 혈중 농도를 측정하고, 같은 조건에서 세마글루타이드 피하주사를 투여한 뒤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비교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투여 용량 차이를 보정한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주사제 대비 80% 이상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기록했습니다. 피하주사 제형의 약물 흡수율을 100%로 볼 때 패치 제형은 80% 이상 체내 흡수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제와 비교하면 약 160배 높은 수준입니다.
또 혈중 농도가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고용량 세마글루타이드를 단일 패치에 담아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주사제 대비 약물 노출 양상도 높게 일관돼 상업화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입니다.
시장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159억달러에서 2030년605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클로팜은 바늘이 피부에 닿으면 녹으며 약물을 방출하는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가압 건조와 완전밀착 포장 방식으로 오염 없이 안정성을 유지하고 냉장 보관 없이도 유통이 가능해 비용 절감 효과도 있습니다.
강복기 대웅테라퓨틱스 대표는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은 높은 생체이용률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약물 전달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고용량 세마글루타이드를 단일 패치에 탑재해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수준의 약물 전달 효율을 입증했다"고 말했습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마이크로니들 제형은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유망한 기술이지만 고용량 약물 전달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기술적 장벽을 넘은 첫 사례"라며 "앞으로 다양한 바이오 의약품을 마이크로니들로 확장해 글로벌 플랫폼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