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이사장 김영호)과 SDG 연구소(대표 최용근)가 우리나라 기업과 금융기관의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과 자연자본 공개 촉진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양 기관은 25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에서 공동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후변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생물다양성과 자연자본 또한 기업 경영과 금융기관에 중대한 위험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인식을 전반적으로 높이는 동시에 대응을 위한 정책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에 상호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2007년 설립된 국내 최초 ESG 및 지속가능금융 싱크탱크입니다. CDP(구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PCAF(탄소회계금융연합), RE100(재생전력 100%), EV100(전기자동차 100%), SBTi(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 등 국제적인 주요 이니셔티브의 한국 파트너이자, 국회ESG포럼 공동사무국 역할도 하는 등 ESG 정책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관입니다.
SDG 연구소는 15년 동안 인하대학교 지속가능경영연구소를 운영한 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 분야에 특화된 컨설팅과 교육을 주요 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는 기관입니다. 올해 2월에는 국립생태원과 지속가능한 자연자본 관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계하는 등 특히 생물다양성에 전문성을 가진 기관입니다.
이번 양해각서에 따라 양 기관은 각자의 전문성을 토대로 기업과 금융기관의 생물다양성 보존과 자연자본 공시 촉진 등과 관련한 연구, 정책개발 등을 위한 공동 과제 및 프로젝트를 발굴해 수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각종 세미나와 캠페인 등을 통한 인식 확산과 서로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협업 및 이슈 확장에도 노력한다는 방침입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양춘승 상임이사는 “생물다양성이 기업 가치에 중대한 요소로 부상함에 따라, 자연리스크는 곧 기업과 금융리스크라는 인식으로 금융기관의 관심은 물론 실제 투자도 증대되고 있다”며 “우리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특히 정책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DG 연구소 김종대 소장은 “생물다양성 및 자연자본 경영과 공시에 특화된 전문기관으로 향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협력하여 기업들의 자연자본 성과 및 리스크를 평가하고 컨설팅을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