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편의점 인기 품목 ‘참치마요 삼각김밥’ 다 똑같을까?

URL복사

Monday, February 12, 2018, 11:02:08

[조은지의 알고 먹읍시다] 참치·마요네즈함량 1등 gs25..콜레스테롤도 최고
원재료 ‘쌀’로 명시돼 있지만 비율기준 다 달라..각각 물 제외한 중량비·쌀·밥

[인더뉴스 조은지 기자] 1인 가구와 혼술·혼밥족이 늘어나면서 바야흐로 편의점 시대입니다. 편의점 삼각김밥으로 한 끼를 때우는 학생이나 직장인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번엔 편의점 3사의 베스트셀러 제품인 참치마요네즈 맛 삼각김밥을 알고 먹어 보겠습니다. 

 

◇ 이름은 같은데..재료들도 같을까?

 

우선 GS25의 ‘참치마요골드’ 삼각김밥입니다. 원재료로는 쌀 57.06%, 참치 20.49%, 마요네즈 13.48%, 양파, 연유, 조미김1.58%, 정제소금, 참기름, 대두유, 복합조미식품, 참깨가 들어있습니다.

 

GS25의 참치마요골드 삼각김밥은 총 115g으로 한 개당 220kcal입니다. 영양성분을 살펴보면 나트륨 370mg(18%), 탄수화물 38g(12%), 지방 5g(10%), 트랜스지방0g, 포화지방1g(7%), 콜레스테롤 9mg(3%), 단백질 5g(9%)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두 번째 CU의 ‘참치마요네즈’ 삼각김밥 입니다. 원재료는 쌀 34.84%, 살코기참치 4.96%, 마요네즈 4.26%, 조미김 0.94%, 볶음참깨, 옥배유, 정제소금, 참기름, 발효식초, 복합조미식품, 혼합간장, 순후추가 들어있습니다.

 

CU의 ‘참치마요네즈’ 삼각김밥은 총 105g으로 gs25의 삼각김밥보다 10g이 적은 양입니다. 한 개당 201kcal로 나트륨은 251mg(13%), 탄수화물 35g(11%), 당류 0g, 지방 5g(9%), 트랜스지방 0g, 포화지방 0.8g(5%), 콜레스테롤 4mg(1%), 단백질 4g(7%)가 포함 돼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븐일레븐의 ‘듬뿍참치마요네즈’ 삼각김밥입니다. 110g으로 GS25와 CU의 중간 무게지만 칼로리는 195kcal로 가장 낮습니다. 원재료명은 gs25·CU와 비슷해 보입니다.


쌀 81.87%, 참치 8.72%, 마요네즈 4.75%, 조미김 1.09%, 정제소금, 대두유, 참기름, 화이트식초, 참깨, 혼합간장, 복합조미식품, 후추가 들어갑니다.

 

영양성분도 타사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는 없습니다. 나트륨 330mg(17%), 탄수화물 28g(9%), 당류 0g, 지방 7g(13%), 트랜스지방 0g, 포화지방 1g(7%), 콜레스테롤 4.8mg(2%), 단백질 5g(9%)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같은 맛, 같은 모양의 삼각김밥 답게 큰 차이가 없는 영양성분이지만 GS25가 나트륨· 탄수화물·콜레스테롤·총칼로리가 셋 중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원재료의 비율입니다. 비슷한 원재료들을 사용했지만 비율이 저마다 다릅니다.


◇ 쌀의 비율 57% vs 34% vs 81%..표시비율 왜 다를까?

 

각사 제품포장에 표기 돼 있는 삼각김밥의 원재료를 봤을 때 쌀의 비율이 최대 47.02%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참치 역시 GS25는 20.49%인데 반해 cu와 세븐일레븐은 각각 4.96%, 8.72%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

 

 

마요네즈도 마찬가지로 GS25는 13.48%, CU는 4.26%, 세븐일레븐은 4.75%로 GS25가 월등히 많은 함유량을 가지고 있습니다.각 제품의 쌀·참치·마요네즈·김을 모두 더했을 때 GS25는 92.61%, 세븐일레븐은 96.43% 이 나왔습니다.

 

100을 기준으로 봤을 때 위의 수치를 제외한 나머지는 후추·참깨·참기름·양파 등의 소량으로 들어가는 제품들의 비율입니다. 그러나 cu는 45%로 다른 편의점들과 비교해 반도 안 되는 수치가 나타났습니다.

 

이와 관련, CU 관계자는 “쌀 만 놓고 봤을 때 34.84%고 여기에 밥을 만들 때처럼 물·식초 등을 넣었을 땐 80%가량 된다”며 “34.84%는 정제수를 제외한 오직 쌀만 놓고 봤을 때 기준이다”고 말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식품 표시기준은 법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회사마다 표시방침이 다르진 않다”며 “다만 각 사마다 노하우의 차이와 쌀의 등급·재료 등이 다르기 때문에 비율이나 재료가 다를 수는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표시기준 주무관은 “식품의 유형마다 식약처가 고시한 식품 표시기준이 있지만 큰 기준만 정해놨다”며 “원재료명·영양성분 등은 정확하게 명시해야 하지만 작은 식품첨가물이나 세세한 퍼센테이지(%), 재료 비율을 꼭 전부 공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재료와 비율이 기업 입장에서는 영업비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알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모두 제품포장에 표기한건 ‘쌀’이라고 했지만 비율을 정하는 기준은 저마다 달랐습니다. GS25는 물을 제외한 중량의 구성비율을 기준으로, CU 역시 쌀을 기준으로, 세븐일레븐은 정제수를 넣고 만든 밥의 기준으로 명시를 했습니다.

 

편의점 3사의 삼각김밥을 살펴보면서 느낀 점은 이름은 같지만 속 내용물과 함유량은 조금씩 다르다는 점입니다. 일부 소비자들은 A사 삼각김밥이 B사 삼각김밥보다 훨씬 맛있다는 이야기도 합니다. 비슷하지만 저마다 조금씩 다른 ‘조은지의 알고 먹읍시다’ 였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조은지 기자 cho.ej@inthenews.co.kr

배너

LG전자, 도요타 '우수 공급사' 첫 선정…북미 시장 전장부품 공급 역량 인정

LG전자, 도요타 '우수 공급사' 첫 선정…북미 시장 전장부품 공급 역량 인정

2025.04.22 10:00:00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가 세계 최대 완성차 업체인 도요타로부터 북미 시장의 전장부품 공급 역량을 인정받았습니다. LG전자[066570]는 최근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도요타 북미법인(TMNA)의 '연례 공급사 비즈니스 미팅'에서 우수 공급사에게 주어지는 '2024 최고가치혁신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도요타 북미법인은 매년 기술력, 품질, 원가, 공급 능력, 가치 혁신 등의 항목을 기준으로 협력사의 성과를 평가해 우수 공급사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LG전자가 도요타로부터 이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LG전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수급 차질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서도 전사적인 제조 혁신과 운영 전략을 통해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도요타가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고품질 전장부품을 적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한 역량과 성과를 인정받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또 도요타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한 공정 개선, 자재·물류 최적화 등 적극적인 원가 절감 활동을 공동으로 추진해 지속 가능한 원가 혁신을 이뤄내는 등 도요타의 북미시장 공급망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 기여를 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LG전자는 2011년 도요타에 내비게이션 박스 공급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도요타 전체 판매 실적의 30%를 차지하는 핵심 시장인 북미를 중심으로 첨단 텔레매틱스(차량용 통신모듈) 설루션 공급을 확대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LG전자의 차량용 텔레매틱스 제어장치는 5G 통신을 기반으로 자동차가 도로에 있는 다양한 사물과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을 일컫는 V2X(Vehicle to Everything, 차량·사물 간 통신) 설루션과 사이버 보안 등을 갖췄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레티지 애널리틱스 발표자료를 토대로 한 자체 추정치에 따르면 LG전자는 텔레매틱스 시장에서 지난해 24.4%의 점유율로 글로벌 1위를 차지했습니다. 커넥티드카 수요 증가와 자율주행기술 발전 등으로 글로벌 텔레매틱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맞춰 LG전자는 글로벌 완성차 고객들과의 협력을 통해 텔레매틱스 분야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은석현 LG전자 VS(Vehicle Solution)사업본부장(부사장)은 '이번 수상은 LG전자의 혁신 기술력과 안정적인 공급 역량, 그리고 고객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긴밀한 협업이 만들어낸 성과"라며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에 발맞춰 차별화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완성차 고객들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