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베트남 보험시장의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국내 보험사들의 진출 성과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인데, IFRS17 도입 등 자본확충 문제로 인해 투자 여력이 부족한 점이 한계로 지목된다.
보험연구원(원장 한기정)은 2일 오후 보험연구원 콘퍼런스 룸에서 ‘우리나라 보험회사의 베트남 진출전략’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베트남 보험산업 현황과 문화, 해외 보험사의 진출 사례를 살펴보고, 베트남 진출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 베트남 보험시장, 성장잠재력 매우 크다
주제 발표를 맡은 조용운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베트남 보험시장의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했다. 청장년층의 인구 비중이 높고, 세계 경제 대비 국내 경제성장률도 높다는 것.
조 연구위원은 “베트남은 인구가 1억명에 달하며, 특히 15~64세 인구 비중(2015년 70.2%)이 증가 추세라는 점에서 경제 성장에 유리하다”며 “시장 개방 정책 이후 외국인 투자 증가, 내수시장 규모 확대 등으로 전세계 경제성장률을 초과하며 지속적인 고성장을 기록 중”이라고 말했다.
베트남 보험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보험밀도(국민 1인당 보험료 지출)는 38.4달러(생보 21.8달러‧손보 16.6달러)였고, 보험침투도(GDP 대비 총수입보험료 비중)는 1.8%(생보 1.0%‧손보 0.8%)를 나타냈다. 선진국 평균(보험밀도 약 4000달러‧침투도 8%대)에 비해 낮았다.
시장 규모는 생명보험시장과 손해보험시장이 각각 우리나라의 2.0%, 2.4%에 불과했다. 하지만, 연평균 보험료 실질성장률(2013~2016년)이 15.0%와 7.3%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한 것으로 평가된다.
◇ 베트남 진출 국내 보험사 성과 부진..“투자 더 늘려야”
한편, 국내 보험사의 경우 지난 1997년 KB손해보험을 시작으로 DB손보(1998년), 삼성화재(2002년), 한화생명(2008년), 미래에셋생명(2018년) 등이 진출해 있다. 대부분 합작 형태로 진출한 가운데, 한화생명만 유일하게 100% 지분을 보유 중이다.
미래에셋생명을 제외하면 모두 진출한 지 10년 이상이지만, 시장에서의 존재감은 미미한 실정이다. DB손보가 시장점유율 8.4%(4위)를 기록 중이지만, 전략적 제휴(지분 37% 보유)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 다이이치생명(시장점유율 4위)은 2007년에 현지 국영법인을 100% 지분 인수한 이후 공격적 마케팅을 통해 매년 100% 이상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에 진출한 푸르덴셜생명과 메뉴라이프는 각각 생명보험 시장점유율 1위와 3위에 올라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조 연구위원은 국내 보험사들이 베트남 진출에서 뚜렷한 경영 성과를 창출하지 못 하고 있는 요인으로 ‘투자 부족’을 지적했다. 해외사업 초기에는 기반 확립에 따른 비용이 소요돼 경영 성과가 나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상황을 견뎌내면 비용이 줄고 편익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조 연구위원은 “해외사업 비중이 매출액 기준으로 18%를 초과해야 해외사업에서 순이익을 창출한다는 내용의 해외 연구 결과가 있다”며 “이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보험사들의 베트남 경영 성과는 미약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보험사들이 베트남을 비롯한 해외사업 투자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지만, 그러지 못 하는 사정은 있다. 2015년부터 적용된 ‘연결지급여력제도’로 인해 해외 금융사에 투자할 경우 요구자본이 증가하고, 오는 2021년 IFRS17 도입으로 자본 확충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조 연구위원은 “해외 직접투자를 통해 성장성을 강화하면서 재무건전성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후순위채 발행 등 다양한 자본확충 수단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