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LG유플러스가 컨트롤러 하나로 여러 장비를 통합제어·운영관리할 수 있는 5G기술을 상용망에 적용했다.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는 ‘5G SDN 스위치’를 개발하고 5G 상용망에 적용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가상화 기반 5G 장비의 효율적 관리와 신속한 확장이 가능해졌다.
5G SDN 스위치는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통합제어와 체계적인 운영·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하나의 컨트롤러에서 여러 대 장비의 네트워크 구성을 한꺼번에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식이다.

이에 따라 가상화 기반으로 운영하는 5G 장비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 급변하는 고객 요구에 맞춰 새로운 5G 서비스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더욱 빠르게 업그레이드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5G SDN 스위치는 기존 가상 사설망 기능(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확장해 서비스·고객군별로 가상화된 독립망을 최대 1600만개까지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서비스 보안성을 높이고 고객들은 전용회선처럼 별도로 구축한 망을 쓰는 것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다.
LG유플러스 이상헌 NW개발담당은 “이번 5G SDN 스위치 적용으로 5G 서비스 보안을 강화해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코어와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연동해 보다 다양한 5G 서비스 제공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