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지난 10년 간 보험가입자의 사망률이 꾸준히 감소했지만, 자살과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의 경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급상승했고, 폐렴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고령화와 함께 꾸준히 늘었다.
보험개발원(원장 성대규)은 최근 10년간(2007년~2017년) 누적된 생명보험통계를 활용해 주요 보험지표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생명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산출한 사망률은 2017년 기준 10만명당 134.8명으로 2007년 197.4명에 비해 62.6명 감소했다. 10년간 평균 3.7%씩 감소한 셈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의료기술의 발달, 생활환경의 선진화 및 교육수준 향상 등으로 우리나라의 사망률은 낮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전체적으로 사망자 수는 감소 추세지만, 일부 사망원인의 경우 오히려 과거에 비해 사망률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우선, 자살의 경우 2007년 8.3명에서 2017년 10.2명으로 2명 가까이 늘었고, 폐렴도 10년 사이 3.9명에서 5.7명으로 증가했다.
사망원인 순위로 봐도 자살은 2007년 5위에서 2017년 3위, 폐렴은 7위에서 5위로 두 계단씩 상승했다. 사망원인 1·2위인 암·심장질환은 지난 10년간 순위를 유지했지만, 사망률 자체는 감소했다.
폐렴 사망률이 증가한 배경에는 인구 고령화가 자리 잡고 있다. 고령자 증가와 더불어 사망률도 점진적으로 증가(연평균 3.9%)했다. 고령자의 경우 폐렴구균 등 미생물 감염으로 인해 생긴 폐의 염증이 저연령자에 비해 진행속도가 빠르고 훨씬 치명적이라는 설명이다.
자살은 폐렴처럼 사망률이 일관되게 증가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제지표가 악화된 2008년 이후 3년간 급격히 상승(2008년 8.6명→2009년 12.3명→2011년 13.2명)했다.
이밖에 저출산 기조로 인해 저연령 보험 가입자 수가 크게 감소했다. 생명보험 가입자 중 15세 이하 어린이 보험가입자 수는 2007년 537만명에서 2012년 524만명, 2017년 374만명으로 10년 전 대비 30% 감소했다. 15세 이하 인구수는 2007년 895만명→2017년 685만명으로 10년 전 대비 23% 줄었다.
한편, 이러한 사망률 개선과 저출산 기조는 보험가입자의 평균연령과 사망연령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보험가입연령의 경우 2007년 평균 35.3세에서 2017년 42.4세로 10년 간 7.1세가 증가했고, 사망연령도 2007년 51.3세에서 2017년 58.8세로 7.5세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