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사상 초유의 미세먼지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공기청정기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계속 되는 미세먼지 공포에 집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에서도 공기 청정의 필요성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관련 시장은 꾸준히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분위기에 가전 업계도 발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단순 거치형 제품이 아닌 공간과 상황에 맞춰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공기청정기 개발에 나섰다. 차량용·유모차용·웨어러블까지 휴대성을 강화해 다양한 용도로 세분화된 공기청정기는 높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20일 휴대성을 강화한 ‘퓨리케어 미니’ 공기청정기를 출시했다. 퓨리케어 미니는 500ml 생수병과 같은 무게와 20cm 높이 디자인으로 공간 제약 없는 휴대용 공기청정기다.

시중에는 성능이 인증되지 않은 휴대용 공기청정기도 판매되고 있다. 공기청정기 성능 인증은 단체표준인증인 CA(Clean Air) 마크를 확인해야 한다. 인증은 집진효율·오존발생농도·소음도 등 기능적인 측면과 OIT 등 국가가 지정한 유독 물질 검출 여부를 검사한 후 부여한다.
하지만 CA 인증이 법적 의무 조항이 아니라는 이유로 시중에는 성능 검증 없이 바로 유통되는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존재한다.
특히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지난해 기준으로 CA 인증 신청 건수가 미비한 추세다.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발급하는 CA 인증은 오존 발생량 0.03ppm 이하 소음 45~55㏈ 기준을 충족해야 획득할 수 있다.
눈으로 효능을 확인하기 어려운 제품인 만큼 신뢰할 수 있는 성능 표시를 필수로 확인 후 구매해야 한다.
이 제품은 휴대용 공기청정기임에도 기존 LG 퓨리케어 360도 공기청정기와 동일한 센서와 필터를 적용했다. 포터블 PM1.0 센서로 실시간 공기 상태를 감지하고 듀얼 인버터 모터로 먼지를 흡입한 뒤 토탈 알러지 집진 필터로 0.3㎛ 극초미세먼지까지 99% 제거한다.
이러한 성능을 기반으로 국내 최초 소형 공기청정기 부문과 미세먼지 센서 부문에서 한국공기청정협회의 CA 인증을 동시 획득해 성능에 대한 신뢰감을 높였다.
도서관 소음 수준의 30dB 저소음으로(약풍 기준) 사무실이나 독서실에서도 조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공간 제약 없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최대 8시간 배터리를 적용했다.
USB로 간편한 충전이 가능하며 오염도에 따라 4단계로 변하는 청정표시등을 통해 휴대하면서 공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용 앱과 연결하면 배터리 잔량과 필터 교체 주기 등도 수시로 체크 가능하다.
LG전자 관계자는 “미세먼지가 심해질수록 다양한 장소에서 공기청정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강화되는 추세”라며 “차별화된 청정 성능과 공간 제약을 없앤 퓨리케어 미니 공기청정기를 통해 일상 생활에서 청정한 공기 질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