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의 글로벌 진출이 올해로 15년을 맞이하면서 세계시장 공략을 위한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대웅제약은 “현재 국내 제약업계 중에서는 가장 많은 해외 법인(8곳)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 인도네시아·중국·인도·미국에 연구소를 설립하고 각 지역별로 특화된 연구소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활발한 연구개발을 진행해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5월에는 대웅제약의 자체개발 보툴리눔 톡신 제품이 아시아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터 ‘주보(Jeuveau; 국내명 나보타)’라는 이름으로 판매허가 승인을 획득한 바 있습니다.
‘주보’는 올해 5월 전세계 최대 보툴리눔 톡신 시장인 미국에 출시됐습니다. 지난 3분기 1320만달러(약 153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미국 시장점유율 3위를 차지했다고 대웅제약은 밝혔습니다.
또 지난 9월에는 유럽에서 판매허가 승인을 획득해 오는 2020년 유럽 진출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10월에는 ‘누시바(Nuceiva)’라는 이름으로 캐나다에 출시됐습니다.
주보 혹은 누시바 등의 이름으로 글로벌 출시된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의 국내명은 ‘나보타’입니다. 지난 2014년 나보타 출시 후 회사 측은 ‘나보타 사업본부’를 설치했습니다.
회사의 특정 제품 이름을 딴 본부로는 나보타가 유일합니다. ‘나보타’ 한 품목의 연구·개발·생산·사업을 담당하는 전담 조직하며, 의사결정 체계를 단일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 개발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하고, 이를 목표로 전사의 역량과 자원을 아낌없이 투자했다”며 “최신식 보툴리눔 톡신 전용 공장 설립 투자와 독립사업본부 설립과 같은 전사 차원의 선택과 집중은, 나보타의 성공에 대한 자신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박성수 대웅제약 나보타 사업본부장은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경우 전세계 시장의 70%가 미국과 유럽에 집중돼 있고, 전세계에 개발된 제품은 많지만 미국과 유럽에서 허가를 받은 제품은 3개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최신 시설에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여 선진국에서 허가를 받을 수만 있다면 충분히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의 글로벌 성공이라는 목표를 위해 파트너사와 지속적인 협업을 진행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박 본부장은 “나보타의 선진국 사업을 독점 담당하는 에볼루스는 아주 큰 회사는 아니지만, 미용성형 분야의 임상·허가·사업전략·마케팅 각 분야에 있어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고, 이 사업 하나만을 목표로 설립된 회사이기 때문에 더없이 좋은 파트너사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대웅제약은 ‘나보타’를 필두로, 오는 2025년까지 진출 국가에서 10위권에 진입하고, 100개국 수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글로벌 2025 비전’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그룹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웅제약은 ‘글로벌 현지화 전략’을 편다는 계획입니다. 각 국가별로 해당 국가에 가장 적합한 전략을 수립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회사 측은 소개했습니다.
해당 전략은 해외 각국의 문화·시장환경·정책·규제 등 전반적인 환경·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대웅제약은 “단기적인 매출 확장보다는 미래 성장동력을 갖추기 위한 현지 시장 지배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단순한 제품 해외 수출을 넘어서 연구부터 생산·허가·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현지에서 운영할 수 있는 유기적인 사업체계를 확립해나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인도네시아에서는 대웅제약과 인피온의 합자회사인 ‘대웅인피온’을 설립해 현지 최초의 바이오의약품 공장을 구축했으며,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생산 노하우 등을 전수하고 있습니다.
현재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자체 생산하는 최초의 바이오시밀러인 빈혈치료제 ‘에포디온’은 현지에서 적혈구생성인자제제(EPO)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회사 측은 향후 난치성 상처치료제, 성장호르몬제, 보툴리눔톡신, 백신 등 바이오의약품의 임상부터 생산까지 순차적으로 현지에서 진행하고, 할랄 인증 추진을 통해 이슬람 국가로 진출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베트남은 ‘지분 투자 모델’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정부가 자국의 제약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현지 생산 입찰 우선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어, 이러한 현지 사정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택했다는 설명입니다.
대웅제약은 베트남 현지 TOP2 제약회사로 알려진 ‘트라파코’에 지분투자를 통해 이사회 멤버로 들어가 경영권에 직접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올해부터 트라파코 회사 내에 대웅제약 전담 영업 마케팅 조직도 구축해 현지에서 판매를 개시했습니다.
전승호 대웅제약 사장은 “대웅제약은 2004년 베트남 해외지사 설립 이후, 해외 각국에 ‘또 하나의 대웅’을 만들기 위한 글로벌 현지와 전략과 차별화된 R&D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개척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올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나보타를 필두로 세계 무대에서 대한민국 제약산업의 위상을 높이고, 글로벌 2025비전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