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정태 편집국장ㅣ2020년 새해가 시작됐습니다.
새해의 첫 번째 날부터 조금 어두운 얘기로 시작하는 것을 양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한국 언론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기레기’라고 답할 분이 가장 많을 것 같습니다.
‘기자+쓰레기’의 합성어인 이 단어가 생겨나고 널리 퍼지기 시작한 건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고 나서부터입니다. JTBC를 비롯한 극소수 매체 외에는 세월호 관련 보도를 제대로 하지 않았고, 그런 탓에 기자들은 도매급으로 ‘기레기’라는 굴레를 써야했습니다.
당시에 인더뉴스는 ‘보험전문 매체’였기 때문에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기사를 거의 쓰지 못 했습니다. 이 때문에 독자의 입장에서 관련 보도를 접해야 했는데요. 각종 왜곡·편파 기사를 접하면서 울분을 참을 수 없었던 기억이 선명합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다짐하고 다짐했던 부분이 있다면 ‘인더뉴스만큼은 믿고 볼 수 있는 매체로 만들어 나가자’는 것이었습니다. 지난 6년 넘게 애를 쓰고 있지만, 참 쉽지 않은 일이라는 걸 절감하고 있습니다.
지난 노력들을 거론하는 것은 건너뛰겠습니다. 올해에는 인더뉴스를 조금 더 독자 친화적인 매체로 가꿔 나가기 위해 모토에 변화를 줬습니다. 새로운 모토는 ‘공감, 그리고 공존. 사람을 더하는 경제신문 인더뉴스(iN THE NEWS)’입니다.
소위 메이저라고 불리는 매체들을 살펴보면 ‘일방향’적인 모습을 띄는 곳이 많습니다. 겉으로는 국가 안위를 표방하지만 철저하게 사익(私益, 社益)을 추구하는 매체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사회 정의를 내세우는 곳들도 ‘독자를 가르치려고 든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적지 않습니다.
인더뉴스는 이런 모습을 경계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새로운 모토를 만들었습니다. 세상 사람들과 함께 호흡하기 위해 애쓰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데 힘써보자는 의지의 표명입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기사에 높임말체를 공식 도입합니다. 기자생활을 하는 동안, 그리고 인더뉴스를 운영하는 동안 종종 ‘왜 신문 기사는 기본이 반말체인 거지?’라는 생각을 해본 일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면적으로 적용해 봐야겠다는 생각까지는 미치지 못 했습니다.
그러다 지난해 11월부터 용기(?)를 내봤습니다. 두 달 동안 모든 기사를 높임말로 작성을 했는데요. 당초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별다른 부작용이 생기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예상했던 것보다 더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었고, 새해 들어서 전면 도입을 알릴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속보성이 중요한 증권 관련 기사와 기업의 신상품과 서비스 등 일부 기사에 한해서는 기존 기사 문체를 유지합니다.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에 관한 소식도 독자(혹은 소비자)들에게는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는데, 부드러운 문체 탓에 광고로 오해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수용한 결과입니다.
지난해 9월 2일 창간 6주년에는 ‘제1회 인간생존전략포럼: iSSF 2019’를 개최했습니다. 매년 열어왔던 생일파티 형식이 아니라 주제를 잡고 진행한 첫 행사였는데, 많은 분들의 관심과 성원에 힘입어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급속한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대변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개인은 점점 더 ‘살아내기’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능력이 아무리 출중할지언정 그 크기와 지속력은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존하는 방법 찾기에도 부지런을 떨 계획입니다. 먼저, 신년 기획으로 인더뉴스 모든 구성원들의 ‘생존전략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그런 다음 연중 기획을 통해 세상 곳곳에서 ‘함께 살아가기’에 성공하고 있는 사람들을 조명해 볼 계획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얻게 된 성과물들을 오는 9월에 열릴 ‘iSSF 2020’에서 공유할 예정입니다.
언론은 세상(사람)을 담는 그릇입니다. 여기에 인더뉴스는 ‘가치’를 더하는 매체가 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재미와 의미’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인더뉴스 구성원 저마다의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흔들림 없이 한발 두발 나아갈 수 있도록 격려와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새해에는 좋은 일로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