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ar 자동차

전기차 구매 시 중요한 건 ‘가격’...“내연기관차와 비슷해져야”

URL복사

Tuesday, August 25, 2020, 10:08:49

EV 트렌드 코리아, 국내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전기차 구매의사 증가
최대주행거리 보다 가격 고민 늘어..“적정 판매가격은 5000만원 미만”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환경규제가 꾸준히 강화되면서 전기차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는데요. 국내 소비자들은 전기차 가격이 보조금과 상관없이 내연기관차와 비슷해져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기차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최대주행거리에 대한 고민은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기차 전시회인 ‘EV 트렌드 코리아 2020’ 사무국은 지난달 16일부터 3주간 성인남녀 1586명을 대상으로 전기차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올해로 3번째인 이번 설문조사는 소비자 니즈를 파악해 전기차에 대한 정보 전달 및 지원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습니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 사람은 95%(1508명)로 전년도 94%에 비해 1% 증가했습니다. 구매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올해(8%·120명)’와 ‘3년 내(56%·966명)’ 구입하길 희망한다고 답했습니다. 다양한 전기차가 쏟아져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환경규제가 강화된 점이 전기차 구매 의사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기차 구입 시 고려사항에 대한 질문에는 ‘최대 주행거리’와 ‘충전소 설치’가 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최대 주행거리는 지난 설문에서 45%로 가장 많은 답변을 보였으나, 전기차 모델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비중이 줄었습니다.

 

다음으로는 ‘차량 가격’(17%→22%), ‘국가보조금’(5%→19%) 순으로 나타났는데, 지난 설문에 비해 전기차 가격에 대한 고민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기차 성능 향상에 따른 전체적인 가격인상과 국가보조금 축소 이슈로 인한 차량구매 비용이 높아진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전기차의 적정 가격은 ‘3000만~5000만원(48%·718명)’과 ‘3000만원 이하(44%·668명)’로 5000만원 이하의 전기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보조금 없이도 내연기관 자동차와 가격경쟁이 가능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선호하는 전기차 브랜드를 묻는 질문에는 지난해와 동일한 테슬라(35%·555명)가 1위를 차지했는데요. 2위를 차지한 현대차도 31%(539명)로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기아차(14%), 벤츠(5%), 포르쉐(4%), 아우디(4%), 쉐보레(3%) 순 이었습니다.

 

전기차 이용 공공 에티켓 의식을 묻는 질문에 ‘낮다(30%·469명)’와 ‘매우 낮다(9%·141명)’라고 답변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특히 전기차 관련 대표 법안인 ‘전기차 충전 방해금지법’을 알고 있냐는 질문에 43%(682명)가 ‘모른다’고 답해 전기차 정책 및 법안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전기차 산업 미래 성장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매우 긍정(47%, 739명)’과 ‘긍정(43%, 678명)’을 답한 응답자가 90%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로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 전기차 기술 발전속도, 경제와 자원 측면의 장점, 친환경 중심의 정책 변화 등의 답변이 나왔습니다.

 

EV 트렌트 코리아 사무국 관계자는 “3년 연속 설문조사를 진행하면서 친환경과 전기차에 대한 관심과 인식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긍정적인 평가로 높아진 관심을 받고 있는 전기차의 궁금증을 풀어줄 EV 트렌드 코리아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EV 트렌드 코리아 사무국은 코로나19 여파로 잠정 연기됐던 올해 행사를 다음달 4일부터 7일까지 나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할 예정인데요. 하지만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강화되면서 일정 변경을 논의 중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경보 기자 kyung2332@inthenews.co.kr

배너

쿠팡, 업계 최초로 다회용 배송용기 ‘에코백’ 도입…친환경 배송 주도

쿠팡, 업계 최초로 다회용 배송용기 ‘에코백’ 도입…친환경 배송 주도

2025.07.22 15:29:01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에 대해서도 업계 최초로 다회용 배송용기인 '에코백'(가칭)을 도입한다고 22일 밝혔습니다. 프레시백의 재질 등을 개선한 원터치 방식의 프레시백 테스트도 함께 진행합니다.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주 일부 캠프 지역에서 에코백 배송을 시범 운영하고 인천, 경기 시흥 일부 지역에서는 새로운 프레시백을 테스트합니다. '에코백'은 장보기 가방 등에 많이 사용되는 타포린 소재를 사용한 다회용 용기로 쿠팡의 박스리스(Boxless) 포장으로 대표되는 PB(Plastic bag)포장을 진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PB는 얇은 두께(0.05㎛)의 배송용 봉투로서 100%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됐습니다. 에코백은 친환경 효과뿐만 아니라 최소 80g의 초경량 재질로 배송 송장을 떼지 않아도 되고 지퍼 형태로 상품을 쉽게 꺼낼 수 있습니다. 특히, 에코백은 회수돼 재사용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배송 포장을 분리 배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생적이면서 열고 닫기 편해진 '뉴 프레시백' 테스트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뉴 프레시백은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등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보냉성을 더욱 높였습니다. 쿠팡은 수차례 테스트를 통해 보냉성은 높이면서 기존 프레시백 무게와 큰 차이가 없는 뉴 프레시백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테스트 지역의 소비자들은 친환경과 위생, 편익 등에 대해 90% 이상이 만족한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기존에 프레시백이 아닌 종이 박스로 신선 식품을 주문하던 고객들도 뉴 프레시백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 프레시백은 수거 시 기존 프레시백처럼 펼치지 않아도 되기에 배송기사들의 작업도 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근로감독 이후 "프레시백을 펼치는 작업이 업무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측면이 있다"라며 업무 경감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프레시백은 국내 유일 다회용 보냉 배송용기로 스티로폼 등 배송 포장 사용을 줄인 쿠팡의 대표적인 친환경 배송입니다. 프레시백 사용을 통해 하루 평균 약 31만개의 스티로폼 상자 사용을 줄여 연간 여의도 면적의 6.5배에 달하는 토지에 연간 900만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CLS는 시범 운영을 진행하면서 개선 사항들을 확인한 후 전국 확대 여부 등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CLS 관계자는 "지구 곳곳에서 이상기온으로 폭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제 친환경 정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어떤 정책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라며 "'에코백'과 '뉴 프레시백' 시범 운영은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연구 개발 등 상당한 투자를 통해 이뤄낸 성과"라고 설명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