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글로벌 투자자들이 포스코가 미얀마 군부와의 관계를 끊어야 한다는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5일(현지시간) 외신 등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6680억 달러(약 754조원)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네덜란드 연기금 운용기관(APG)을 비롯한 여러 투자단체들이 보유한 포스코 보유지분이 책임투자를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APG가 지난달 일본 식품기업 기린홀딩스가 군부 소유의 미얀마경제지주사(MEHL)와 합작을 중단한 사례를 예로 들며 포스코에도 유사한 조치를 원한다고 전했습니다.
포스코의 계열사인 포스코강판(C&C)은 지난 2013년 MEHL과 합작사를 세워 미얀마 군부의 학살 행위에 재정적으로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포스코강판은 로힝야족 인권 탄압 문제가 불거지자 2017년 이후부터 배당 지급을 중단하고 있다며 상황에 따라 MEHL과 사업관계 재검토도 고려하고 있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또한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포스코강판(C&C)은 미얀마 군부 소유 기업 미얀마경제홀딩스(MEHL)와의 합작사에 대한 보유지분 70%를 매각하거나 MEHL의 보유지분 30%를 사들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MEHL이 보유한 지분 30%의 액수가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앞서 미얀마 민주진영의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도 프랑스 토탈을 비롯해 포스코인터내셔널, 태국 PTTEP 등 기업에 미얀마 내 가스전사업 중단을 요구한 바 있습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000년 미얀마국영석유가스회사(MOGE)와 미얀마 서부 안다만해 해상에 가스전을 개발하고 미얀마와 중국 등에 천연가스를 판매했습니다.
이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얀마 가스전은 2000년부터 정부 산하 국영석유가스공사와 계약을 통해 20년 간 중단 없이 추진해온 사업으로 군부정권이나 MEHL과 관련 없다”며 “정권에 관계없이 민선정부 시절에도 추진해온 사업으로 가스전 수익금도 정부 관리의 국책은행으로 입금되어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미얀마 시민단체 ‘저스티스 포 미얀마’(JFM)는 APG와 더불어 또다른 네덜란드 연기금 운용사 PGGM에도 미얀마 관련 사업 지분액 23여억 달러를 빼내길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JFM은 미얀마 국영 업체와 사업하는 외국 기업들에서도 네덜란드 자금을 매각할 것을 요청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