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미 백악관이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현지 시간 오늘(12일) 화상으로 대책 회의를 개최합니다. 국내 기업 중에서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반도체 공급망 확충 회의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외신 등에 따르면 오늘 대책 회의는 백악관의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주재합니다. 앞서 지난 9일(현지시간) 백악관은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반도체와 공급망 복원에 대한 화상 CEO 서밋을 주재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참석 기업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대만 TSMC 마이크론 등 반도체 회사와 포드 GM 등 자동차 업체 등 모두 19개 회사입니다. 삼성전자 DS(반도체) 부문은 김기남 부회장을 비롯해 고위 임원들이 지난 주말 백악관 화상회의와 관련한 대책 회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美정부 입장에선 반도체 쇼티지(공급 부족)사태를 막기 위해 반도체 공급망 확대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방안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에 대규모 투자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번 백악관 회의에는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사장)이 참석이 유력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 오스틴 공장이 파운드리 공장인 데다, 추가 검토하고 있는 공장 역시 파운드리 라인인 만큼 최 사장이 적임자라는 평가입니다. 삼성전자는 현재 미국에 170억달러(약 20조원)를 투자해 추가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하고, 오스틴 지역을 유력 후보지로 검토 중입니다.
한편, 백악관은 “오늘 회의에서 미국의 일자리 계획과 반도체 등 주요 분야에 대한 미국의 공급망의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를 논의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