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대한상공회의소를 이끌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경제사절단으로 방미길에 올랐습니다. 美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는 자리인데요.
특히 이번 정상회담에서 국내 4대 그룹이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최태원 회장이 ‘재계 리더’로서 역할도 주목됩니다.
20일 재계에 다르면 최 회장은 전일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동행을 위해 약 일주일 일정으로 미국으로 출국했습니다. 최 회장의 해외 출장은 지난해 1월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참석 후 1년 3개월 만입니다.
이번 방미 일정에서 최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양국 경제인 간담회에 참석하는 등 한미간 백신 협력과 반도체, 배터리 등 경제 외교에 힘을 보탤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최 회장은 한미간 경제인 간담회에서 양국의 ESG 현황과 의견을 교환하며 양국간 소통 강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입니다.
최 회장은 앞서 지난 18일 열린 최종현학술원 주최 세미나에서 “사회, 환경, 공공재에서 측정 가능한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한미관계의 근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또 최 회장은 오는 22일(현지시간)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을 방문할 계획인데요. SK그룹은 미국 조지아주에 약 3조원을 들여 전기차 배터리 1·2공장을 짓고 있고, 추가로 3·4공장 설립 계획도 검토 중입니다. 이 자리에서 SK가 추가 배터리 공장 투자 계획을 발표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투자 규모는 약 3조원 입니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방미에서 최 회장은 SK 오너 역할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인을 대표하는 대한상의 회장으로 역할이 더해졌다”며 “과거 다보스포럼 등서 경제계 모임을 주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양국간 소통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다음주 중·후반까지 미국에 머물면서 정·관계, 재계 인사들을 두루 만나며 광폭 행보를 이어나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최 회장을 비롯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삼성, 현대, LG 등 국내 기업들의 행보도 최대 관심사입니다. 현재 4대 그룹이 미국에 투자를 계획 중인 규모는 약 40조원에 달합니다.
삼성전자는 170억달러(20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증설 방안을 검토 중이며, 현대자동차는 미국에 전기차 생산설비 확충해 생산 확대할 계획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합작해 미국 오하이오주에 이어 테네시주 스프링힐에 추가 배터리 공장을 설립을 계획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