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엄수빈 기자ㅣ동아제약(대표 최호진)이 국내 최초로 차세대 핵심 기술 ‘3D 프린팅’을 융합한 환자 맞춤 의약품 개발에 나선다고 26일 밝혔습니다.
동아제약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3D 프린팅 기술기반 맞춤형 의약품 개발’ 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는데요. ‘3D 프린팅 기술기반 맞춤형 의약품 개발’ 과제는 의료기기 및 바이오 분야에서 활용 중인 3D 프린팅 기술을 경구용 의약품 제조에 적용하는 국내 첫 사례입니다.
이번 과제는 전통적인 제약산업 생산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고자 ‘챌린지 트랙’ 과제로 선정됐는데요. 챌린지 트랙은 업종별 기존 연구개발(R&D) 사업에서 추진되는 산업적 파급력이 높으면서도 도전성이 높은 과제입니다. 연구기관의 연구 자율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해 우수 기업 등에게 R&D 규제를 일괄 면제하는 ‘R&D 샌드박스’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동아제약은 차세대 연구 플랫폼 기술 중 하나로 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맞춤형 헬스케어 제품 제조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 개인 맞춤형 3D 프린팅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헬스케어 분야의 3D 프린터 제조 기술을 보유한 ㈜링크솔루션(대표 최근식), 3D 프린팅 의약품 제형을 연구하는 충북대학교 약학대학(연구책임자 박천웅 교수)과 협력해 2025년까지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합니다. 총 55억원의 사업비 중 최대 40억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습니다.
이은석 동아제약 개발전략실장은 “개인 맞춤형 의약품 제조 기술을 통해 환자 개인에게 맞는 의약품을 제공해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여 제약 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