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승재 기자ㅣ금융업계 등에서 천재지변이나 테러 등 참사에 대비해 데이터를 보존하고 자동 복구하는 장치인 ‘재해 복구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변환하는 첫 사례가 네이버클라우드로 선정됐습니다.
네이버클라우드(대표 박원기)는 10일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로 선정되며 NH농협은행(은행장 권준학 이하 농협은행)의 선도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획득했다고 밝혔습니다.
1금융권의 재해 복구(DR)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국내 첫 사례라는 점에서 금융권의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해당 사업은 올해 5월, 사업 공고가 났던 당초부터 ‘클라우드 업계 별들의 전쟁’으로 불릴 만큼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점포를 운용하며 서비스를 지속 확대하고 있는 농협은행의 중요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금융권 공략에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표준 사업자가 수행할 과업 중 하나인 재해 복구 센터(DR)의 퍼블릭 클라우드로의 이전은 국내 1금융권 최초로 이뤄지는 사업으로 업계 대표 레퍼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컸습니다.
사업자 선정은 업무의 중요도 및 형태를 고려해 중요업무와 비중요업무로 구분해 이뤄졌으며, 네이버클라우드(메타넷티플랫폼)과 AWS(클라우드그램) 2개 사업자가 농협은행의 중요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표준 사업자로 선정됐습니다.
중요업무 표준 사업자는 고유식별정보 및 개인신용정보 처리 업무·재해 복구 시스템 등 농협은행 내부망과 전용선 연결을 담당하며 농협의 핵심 비즈니스를 다루게 됩니다.
앞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농협은행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재해 복구 시스템 구축과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구축·연구 개발(R&D) 및 코딩 실습 환경 구축 등 총 3가지 선도 프로젝트를 맡습니다.
관련 업계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가 보안 및 심의 요건을 충족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고, 보안 규정이 변경될 시 컴플라이언스 팀이 국내에 있어 타사 대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점이 표준사업자로 선정된 배경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맞춤형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역량을 보유해 농협은행이 고려하는 업무 중요도와 애플리케이션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클라우드 확장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점도 골자입니다.
이 밖에 네이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클로바(CLOVA) AI 특화 서비스를 제공해 금융기업이 경쟁력 있는 다양한 서비스 구현에 클라우드 신기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과거 농협은행과 다수의 협업을 진행해온 바 있습니다. 지난 2019년부터 복잡한 URL을 짧고 간단하게 바꿔주는 nShortURL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도입해 현재 일평균 3만5000건 이상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에는 모바일 생활금융플랫폼 앱 ‘올원뱅크’의 특정 서비스들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으로 오픈하면서, 국내 1은행권 최초로 고객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한 사례로 기록되기도 했습니다.
김태창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사업 총괄 전무는 “네이버클라우드가 이번 NH 퍼블릭 클라우드 표준 사업자로 선정된 것은 국내 금융권의 다양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사업을 수행하며 쌓은 기술력과 고객을 향한 신뢰를 인정받았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선례를 뛰어넘는 역량을 발휘해 NH농협은행의 중요업무 선도 과제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