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국내 시공능력평가 6위 대우건설의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에 중흥건설이 선정됐습니다.
대우건설의 최대주주인 KDB인베스트먼트(이하 KDBI)는 5일 오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중흥 컨소시엄으로 선정하고, DS네트웍스-스카이레이크 컨소시엄을 예비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대우건설의 매각은 지난 2018년 호반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인수 과정에서 대우건설의 해외 부실 등을 이유로 9일 만에 인수를 포기한 바 있습니다.
이대현 KDBI 대표이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우선협상대상자 및 예비협상대상자 선정은 매각대금, 거래의 신속·확실성, 대우건설의 성장과 안정적 경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이 대표는 “2017년 대우건설의 매각 실패와 이후 비공식적으로 인수를 타진했던 많은 국내외 투자자들의 사례를 감안해 대우건설 M&A의 일차적 목표를 투자자들의 진정성을 최대한 확인하고, 대우건설의 영업과 임직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세부 매각 절차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매각대금 극대화, 거래종결의 확실성, 신속한 거래완료, 공정한 절차 진행의 원칙을 적용했다”고 했습니다.
앞서 KDBI는 지난달 25일 본입찰을 마감했습니다. 이에 업계에서는 중흥건설이 2조3000억원을, DS네트웍스 컨소시엄이 1조8000억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KDBI는 양측이 제시한 가격 차이가 크다는 이유로 지난 2일 양측을 대상으로 입찰가 수정을 제안했습니다.
이에 업계에서는 지난 2일 중흥건설이 2조3000억원보다 낮은 금액을, DS네트웍스 컨소시엄은 1조8000억원보다 높은 인수가를 다시 제출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중흥건설은 500억원 규모의 입찰 보증금을 내야 합니다.
대우건설 매각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까지는 3~4주 가량 소요될 예정입니다. 이후 실사 등 절차 거쳐 연내 인수합병(M&A)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KDBI는 본입찰을 앞두고 이행보증금 약 500억원을 걸면서 3% 이상의 가격 조정이 불가하다고 말한 바 있지만 매각 작업이 번복됐다는 점에서 KDBI를 향한 비판을 피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대우건설 노조는 지난 2일 기자회견에서 KDBI가 본입찰 전 3% 이상의 가격 조정이 불가함을 발표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재입찰'을 진행한다는 이메일을 중홍건설과 DS네트웍스 측에 발송했다며 “이는 명백한 입찰방해이자 특정업체를 밀어주는 배임죄에 해당된다”고 비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