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아세안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인도네시아에 합작공장을 세웁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인도네시아에 연산 1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셀 합작공장 설립을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측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과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지난 28일 여의도에 위치한 LG에너지솔루션 본사에서 만난 가운데,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이 온라인 화상으로 참석해 체결식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협약 체결에 앞서 최근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셀 합작공장 설립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양측은 합작공장 설립을 위해 약 11억달러(1조1700억원 규모)를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합작공장에 대한 지분은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50%씩 보유합니다.
양측은 3분기 합작법인 설립을 완료한 뒤 4분기에 착공에 나설 예정입니다. 오는 2023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며, 2024년 상반기 내에는 배터리셀 양산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합작공장은 총 33만㎡의 부지에 지어집니다. 연간 전기차 배터리 약 15만대분 이상인 1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셀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이 곳에서 생산되는 배터리셀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신기술을 적용해 고함량 니켈(N)과 코발트(C), 망간(M), 출력을 높여주고 화학적 불안정성을 낮춰줄 수 있는 알루미늄(A)을 추가한 고성능 NCMA 리튬이온 배터리셀입니다. 우선적으로 2024년부터 생산되는 현대차와 기아의 E-GMP가 적용된 전용 전기차에 탑재됩니다.
양측은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통해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에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공급함으로써 폭발적으로 증가할 글로벌 전기차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배터리셀 합작공장이 원자재 공급부터 배터리셀 제조, 완성차 생산까지 드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배터리셀 합작공장은 현대차의 인도네시아 완성차 공장과 함께 아태 권역 전체 시장 공략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전망입니다.
아세안 시장은 완성차에 대한 역외 관세가 최대 80%에 이를 정도로 관세 장벽이 높지만 아세안자유무역협약(AFTA) 참가국 간에는 부품 현지화율이 40% 이상일 경우 무관세 혜택이 주어지는 만큼,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배터리셀을 생산함으로써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합작을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기술력과 당사의 오랜 기간 축적된 완성차 생산 및 품질관리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 품질을 모두 갖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미래 전기차 핵심 시장이 될 아세안 지역 공략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