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조현준 효성 회장이 지속가능경영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3일 효성에 따르면 조현준 효성 회장은 ESG 경영은 효성이 글로벌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정체성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조 현준 회장은 “환경보호와 정도경영, 투명경영을 확대하고 협력사들과 동반 성장해야 한다”며 “이렇게 함으로써 주주들과 사회로부터 사랑과 신뢰를 받는 ‘100년 기업 효성’으로 성장해나가야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지난 4월 효성은 ESG 경영위원회를 출범시켰는데요. 이사회 내에서 지배구조 개선을 담당해 온 투명경영위원회가 ESG경영위원회로 확대 개편된 것을 비롯해 ▲ESG 관련 정책 수립 ▲ESG 정책에 따른 리스크 전략 수립 ▲환경·안전·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투자 및 활동계획 심의 등의 책임을 추가로 맡았습니다.
또한 효성은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울산, 창원, 대구 등 사업장에 고효율 설비 교체, 인버터 설치 등을 해 연간 약 1800만kWh의 에너지 절감량과 약 9천톤의 이산화탄소가량 온실가스 감축량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에 앞서 효성은 올해 3월 열린 이사회에서 지주사 이사회 의장에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을 선임, ESG경영의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첫 여성 이사회 의장인 김명자 서울국제포럼 회장은 서울대 화학과, 미국 버지니아대를 졸업한 이학 박사로, 숙명여대 교수를 거쳐 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 환경부 장관, 17대 국회의원 등을 역임한 국내의 대표적인 여성 과학자입니다.
현재에도 환경과 과학기술정책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환경운동단체들의 고전적 필독서로 꼽히는 <침묵의 봄>, <에덴의 용> 등을 번역 출간했고, <과학혁명의 구조> 등을 집필한 유명 작가이기도 합니다.
주요 기업 이사회에 여성 이사 자체가 많지 않은 것이 현실. 이사회 의장이 여성인 경우가 흔하지 않기 때문에 효성의 여성 의장 선임이 신선하게 다가온다는 평가입니다. 향후 경영에 전문성은 물론 다양한 시각을 도입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입니다.
김명자 이사회 의장은 전문성을 살려 최근 출범한 ESG경영위원회 위원도 맡습니다. ESG경영위원회는 이사회 내 대표이사 1인과 4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됩니다. ESG경영의 중요성을 감안해 투명경영위원회 보다 사외이사 참여를 1명 늘렸습니다.
조현준 회장은 “ESG경영은 효성이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할 아이덴티티”라며 “첫 여성 이사회 의장으로 환경 분야 등 전문성을 기반으로 ESG경영 등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