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딘 가필드 넷플릭스 정책총괄 부사장이 4일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넷플릭스 미디어 오픈 토크’를 진행하고 콘텐츠 전송네트워크를 통한 기술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자체 콘텐츠 전송네트워크 ‘오픈 커넥트 어플라이언스(Open Connect Appliances, 이하 OCA)’ 개발에 1조 원을 투자하고, 142개국에 OCA를 1만 4000여개 이상 무상 보급했습니다. 2020년 전 세계 ISP가 OCA를 도입해 절감한 비용은 약 1조 4100억 원(약 12억 달러)입니다.
OCA를 활용하면 넷플릭스 트래픽을 95%~100% 흡수할 수 있고 ISP(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비용도 절감됩니다. 데이터가 ISP에 직접 전달돼 중계 접속료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OCA는 모든 ISP 망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콘텐츠를 원거리에서 수신해도 추가 비용이 없습니다.
가필드 부사장은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의 ISP와 협력해 비용 절감효과 확대를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CP(콘텐츠 제공자)와 ISP 간 소비자 중심 협력적 인프라 구축은 세계적인 흐름”이라며 “최적의 소비자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위해서는 오픈 인터넷 환경이 필수적이며, 망 중립성은 기업의 수익성이 아닌 소비자 만족을 위한 기본원칙”이라고 말했습니다.
넷플릭스는 OCA 외에도 안정적인 트래픽 환경 구축을 위해 ▲같은 비디오 파일을 여러 버전으로 인코딩하는 기능 ▲동일한 화질의 동영상을 점점 더 적은 대역폭으로 전송하는 기능 등 추가적인 기술개발을 지속 중이라 전했습니다.
그 결과 2015년에는 4기가의 데이터로 넷플릭스를 11시간 시청할 수 있었던 반면, 현재는 같은 데이터로 25시간까지 시청이 가능해졌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가필드 부사장은 “다양한 국내 파트너사들과의 동행의 중요성에 깊이 공감한다”며 “넷플릭스는 한국 창작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ISP를 비롯한 관련 산업 생태계 파트너들과 협력해 최상의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는 책임감 있는 자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